2025년 5월 19일 (월)
2030 무주택 미혼 77% '내 집 필요'…42% '10년 이내 불가' 

2030 무주택 미혼 77% '내 집 필요'…42% '10년 이내 불가' 

국토연구원, 2030 미혼 청년 주거여건과 주거인식 보고서

기사승인 2022-02-23 18:04:16
사진pexels
안세진 기자
asj0525@kukinews.com

무주택 미혼 청년 10명 중 8명은 '내 집 마련'이 꼭 필요하다고 봤다. 다만 10년 이내에 집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 청년은 4명 정도에 불과했다. 이들은 공공임대주택, 신규주택 공급 등을 가장 서둘러야 할 정부 주거정책으로 꼽았다.

국토연구원은 이같은 내용의 '2030 미혼 청년의 주거여건과 주거인식' 보고서를 23일 국토이슈리포트에 게재했다. 이번 조사는 전국에 거주하는 만 20세 이상, 39세 이하 미혼 청년 3009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9월 17~28일 인터넷을 통해 진행했다. 조사 대상 중 유주택자는 14.5%(436명), 무주택자는 85.5%(2573명)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부모 동거 청년은 직장인(36.9%)과 학생(33.4%)이 대부분이었다. 이들중 43.2%가 월소득 100만원 미만의 낮은 소득 수준을 보였다. 반면 부모 독립 청년은 대부분이 직장인(59.6%)이었다. 이들 소득은 부모 동거 청년에 비해 높았다. 200만~300만원이 38.1%, 300만원 이상이 22.2%에 달했다.

부모 독립 청년은 연립·다세대(36.5%) 아파트(25.3%) 오피스텔(17.5%) 단독주택(15.2%) 순으로 살고 있었다. 보증부 월세가 43.8%로 가장 비중이 높았다. 이들 청년의 42.1%는 현재 거처 마련시 부모의 경제적 지원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무주택 미혼 청년 가운데 77.0%는 '내 집을 꼭 소유해야 한다'고 답했다. 하지만 청년들이 느끼는 내 집 마련의 벽은 높았다. 본인의 소득과 자산을 고려했을 때 10년 안에 내 집을 소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답한 무주택 미혼 청년은 42.6%에 그쳤다. 

주택 구입시 부모의 경제적 지원을 기대하는 청년은 내집을 꼭 소유해야 한다는 인식이 81.3%였다. 그렇지 않은 경우(74.6%)보다 더 높았다.

주택 소유가 불가능할 경우의 선택지로, 일반 전월세와 공공임대가 약 6대 4의 비율이었다. 이들이 꼽은 가장 시급한 정책은 △누구나 오랜기간 거주할 수 있는 공공임대주택(23.6%) △신규주택공급 확대(22.7%) △무주택 청년 주거비 지원(21.4%) △새로운 형식의 분양주택(19.7%) 등으로 조사됐다.

국토연구원 관계자는 "부모의 경제적 지원에 대한 기대가 중요하게 나타난 것은 부모 세대의 소득·자산 격차가 자녀 세대로 대물림될 가능성을 시사한다"며 "부모 도움 없이도 적정한 주거를 마련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안세진 기자 asj0525@kukinews.com
안세진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故 오요안나, 조직내 괴롭힘 인정됐다…MBC "일부 프리랜서 조속한 조치"

고용노동부가 MBC 기상캐스터 고(故) 오요안나 사건에 대해 조직 내 괴롭힘이 있었다고 판단한 가운데, MBC는 빠른 시일 내 합당한 조치를 취하겠다며 사과했다.MBC는 19일 “오늘 발표된 고용노동부의 특별근로감독 결과를 매우 엄중하게 받아들인다”며 “재발 방지 대책 마련과 조직문화 개선, 노동관계법 준수를 경영의 최우선 과제로 올려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알렸다.앞서 이날 고용노동부는 오요안나에 대한 괴롭힘 행위가 있었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