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6일 (화)
집값 거품 1위 도시는 ‘세종’… 서울도 38%

집값 거품 1위 도시는 ‘세종’… 서울도 38%

기사승인 2022-09-23 10:02:42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바라본 송파구와 강남구 아파트 단지 모습. 쿠키뉴스 자료사진
조현지 기자
hyeonzi@kukinews.com

국내 주택가격 거품 수준이 과도한 수준에 도달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이 23일 발표한 ‘주택가격 거품 여부 논란 및 평가’에 따르면 서울 주요 지역 아파트 단지는 적정 자산가치보다 평균 38% 이상 과대평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는 58% 이상, 지방은 19% 이상 가격 거품이 있다고 분석됐다. 

특히 서울 강남-동남권역의 가격거품은 40%를 서초구의 가격거품은 50% 이상을 각각 기록하기도 했다.

경기도는 58% 이상으로 집계됐다. 안성(87%), 여주(85%), 의왕(80%) 등은 적정가격의 거의 2배를 줘야 아파트를 살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방 거품은 평균 19.7% 수준으로 예년 평균(10~15%) 수준을 소폭 웃돌았다. 세종(60%), 광주(39%), 부산(31%), 대구(23%) 등은 거품 비율이 높았다. 

가격거품 현상의 원인을 고강도 규제효과에 따른 풍선효과로 분석된다. 이승석 한경연 부연구위원은 “국토에 비해 인구밀도가 높은 한국의 여건상 평균 10∼15% 주택가격 거품이 있었지만 주택가격 거품이 40%에 근접한 것은 지나친 수준”이라며 “이러한 버블현상이 발생한 것은 핀셋 규제에 따른 풍선효과 등 주택정책의 실패로 볼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주택가격 거품에 대한 우려가 커진 가운데 집값 하락 전망도 이어지고 있다. 직방이 어플리케이션 내 접속자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 1727명 가운데 과반수 이상인 61.9%가 올해 하반기 현재 자신이 거주하는 주택 매매가가 하락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매매가 하락세 예상 이유로는 ‘금리 인상에 따른 이자 부담 증가’가 63.9%로 압도적이었다. 이어 ‘현재 가격 수준이 높다는 인식에 따른 수요 감소’가 15.0%, ‘물가 상승 부담과 경기 둔화’가 12.1%,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한시 완화에 따른 매물 증가’가 4.7%로 뒤를 이었다.

이에 원활한 주택공급 및 규제 완화를 통한 주택시장 정상화 방안이 거론된다. 최근 금리인상 기조에 따라 매매시장 위축되는 등 실수요자의 갈증을 해소할 만큼의 매물이 시장에 나오지 않아 주택시장의 불안정성이 계속된다는 설명이다. 

이 부연구위원은 “주택공급에 대한 시그널을 수요자에게 명확히 전달해야 한다”며 “주택시장의 혼란을 초래한 극단적인 주택규제는 철폐하거나 완화해 주택시장 기능을 회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현지 기자 hyeonzi@kukinews.com
조현지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김혜성, 빅리그 첫 선발 경기 수훈…“홈런은 오타니가 쳤는데 날 축하해줘”

김혜성(LA 다저스)이 미국 메이저리그(MLB) 데뷔 후 처음 선발로 출전한 경기에서 첫 안타, 첫 타점, 첫 득점을 기록하며 수훈 선수로 뽑혔다.김혜성은 6일(한국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마이애미 론디포 파크에서 열린 2025 미국 프로야구 MLB 마이애미 말린스와의 경기에서 9번 타자 2루수로 선발 출전해 4타수 2안타 1타점 1득점 1도루로 활약했다.팀의 승리에 기여한 김혜성은 경기 후 방송사 수훈 선수 인터뷰에 나섰다. 그는 “다저스는 강한 팀”이라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