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23일 (금)
집값 거품 1위 도시는 ‘세종’… 서울도 38%

집값 거품 1위 도시는 ‘세종’… 서울도 38%

기사승인 2022-09-23 10:02:42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바라본 송파구와 강남구 아파트 단지 모습. 쿠키뉴스 자료사진
조현지 기자
hyeonzi@kukinews.com

국내 주택가격 거품 수준이 과도한 수준에 도달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이 23일 발표한 ‘주택가격 거품 여부 논란 및 평가’에 따르면 서울 주요 지역 아파트 단지는 적정 자산가치보다 평균 38% 이상 과대평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는 58% 이상, 지방은 19% 이상 가격 거품이 있다고 분석됐다. 

특히 서울 강남-동남권역의 가격거품은 40%를 서초구의 가격거품은 50% 이상을 각각 기록하기도 했다.

경기도는 58% 이상으로 집계됐다. 안성(87%), 여주(85%), 의왕(80%) 등은 적정가격의 거의 2배를 줘야 아파트를 살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방 거품은 평균 19.7% 수준으로 예년 평균(10~15%) 수준을 소폭 웃돌았다. 세종(60%), 광주(39%), 부산(31%), 대구(23%) 등은 거품 비율이 높았다. 

가격거품 현상의 원인을 고강도 규제효과에 따른 풍선효과로 분석된다. 이승석 한경연 부연구위원은 “국토에 비해 인구밀도가 높은 한국의 여건상 평균 10∼15% 주택가격 거품이 있었지만 주택가격 거품이 40%에 근접한 것은 지나친 수준”이라며 “이러한 버블현상이 발생한 것은 핀셋 규제에 따른 풍선효과 등 주택정책의 실패로 볼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주택가격 거품에 대한 우려가 커진 가운데 집값 하락 전망도 이어지고 있다. 직방이 어플리케이션 내 접속자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 1727명 가운데 과반수 이상인 61.9%가 올해 하반기 현재 자신이 거주하는 주택 매매가가 하락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매매가 하락세 예상 이유로는 ‘금리 인상에 따른 이자 부담 증가’가 63.9%로 압도적이었다. 이어 ‘현재 가격 수준이 높다는 인식에 따른 수요 감소’가 15.0%, ‘물가 상승 부담과 경기 둔화’가 12.1%,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한시 완화에 따른 매물 증가’가 4.7%로 뒤를 이었다.

이에 원활한 주택공급 및 규제 완화를 통한 주택시장 정상화 방안이 거론된다. 최근 금리인상 기조에 따라 매매시장 위축되는 등 실수요자의 갈증을 해소할 만큼의 매물이 시장에 나오지 않아 주택시장의 불안정성이 계속된다는 설명이다. 

이 부연구위원은 “주택공급에 대한 시그널을 수요자에게 명확히 전달해야 한다”며 “주택시장의 혼란을 초래한 극단적인 주택규제는 철폐하거나 완화해 주택시장 기능을 회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현지 기자 hyeonzi@kukinews.com
조현지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무적함대’ 젠지, 16연승 질주…MSI 1시드 결정전 직행

‘무적함대’ 젠지가 압도적인 경기력을 선보이며 개막 16연승을 질주했다.젠지는 23일 오후 5시 서울 종로구 롤파크 LCK 아레나에서 열린 ‘2025 LCK’ 정규시즌 2라운드 DRX와 경기에서 세트스코어 2-0으로 승리했다. 16연승을 달린 젠지는 MSI(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 1시드 결정전 직행을 확정했다. 반면 DRX는 이날 패배로 ‘로드 투 MSI’ 진출에 실패하며 3~5라운드를 라이즈 그룹에서 치르게 됐다.젠지가 1세트 초반부터 DRX를 압박했다. 바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