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 리볼빙 금리와 신용카드 연체액이 오르면서 서민 경제와 카드 업계가 더욱 힘들어지는 분위기다. 지난해 지속된 기준금리 인상과 DSR규제로 카드론이 묶이면서 중·저신용자들이 리볼빙으로 옮겨가 이월잔액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6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11월 롯데·삼성·신한·우리·하나·현대·KB국민카드 등 7개 카드사(BC카드 제외)의 리볼빙 평균 금리는 16.80%로 집계됐다. 현재 법정최고금리가 20%인 것을 감안하면 이에 육박하는 수치다.
리볼빙은 일정금액 결제 후 잔여대금에 대한 상환이 자동으로 연장된다. 잔여 이용한도 내에서는 신용카드를 계속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결제방식으로 중·저신용자들이 주로 이용한다. 최근 리볼빙 평균금리가 인상하면서 중·저신용자들의 잔여대금 상환 부담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
또한 지난해 9월 말 기준 8개 카드사(신한·KB국민·삼성·현대·롯데·하나·우리·비씨)의 1개월 이상 연체액은 1조4076억원으로 전년 말 대비 10.8%(1366억원) 늘었다. 최근 3년간 카드사의 연체액이 1조4000억원 넘긴 것은 2020년 3월 말 이후 처음이다.
서민경제의 어려움은 연체율에서도 나타난다. 지난해 9월 말 기준 8개 전업 카드사의 1개월 이상 평균 연체율은 0.84%로, 전년 말보다 0.04%포인트(p) 올랐다. 평균 연체율은 지난해 3월 말 0.83%를 기록한 후 6월 말 0.79%로 낮아졌지만 다시 반등한 것이다.
서민경제가 기울어지면서 카드업권을 둘러싼 영업환경까지 어려워졌다. 가맹점 수수료 인하로 신용판매 수익이 줄어든 가운데, 기준금리 인상 여파로 조달금리 상승이 겹쳤기 때문이다. 여기에 연체율까지 쌓이면서 실적 저하를 면하기 어려운 사정이다.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카드채 발행액은 3300억원으로 전월 대비 약 85% 감소했다. 카드사의 주요 자금조달수단인 여전채 발행이 어려워진 것이다.
한신평은 “주요한 자금조달수단인 여전채 발행이 어려워질 겨우 자금관리에 어려움이 나타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카드업계 관계자는 “최근 일부 고객을 대상으로 카드론과 현금서비스 한도를 축소하는 등 리스크 관리에 나서고 있다”면서 “수익을 방어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은비 기자 silver_b@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