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신흥국도 충분히 자국통화로 대외자본 조달 가능”

한은 “신흥국도 충분히 자국통화로 대외자본 조달 가능”

“원죄 가설 속박에서 벗어날 수 있음을 시사”

기사승인 2023-08-14 14:52:15
한국은행
신흥국도 자본시장 육성을 통해 유동성을 높이고 물가안정을 통해 중앙은행의 신뢰성을 확보하면 충분히 자국통화로 대외자본을 조달 가능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국제경제연구실 한바다 과장과 인천대학교 오태희·이장연 교수는 14일 ‘BOK경제연구: In Search of the Origin of Original Sin Dissipation(신흥국 원죄의 소멸 원인에 대한 실증 연구)’에서 이같이 밝혔다.

앞서 1999년 버클리대 배리 아이컨그린 교수와 하버드대 리카르도 하우스만 교수는 신흥국은 자국통화로 대외자본 조달이 불가능한 원죄(原罪)를 갖고 있다는 가설을 제기했다. 이 가설은 신흥시장국의 대외자본 조달의 구조적 취약성을 설명하는 이론으로 학계 및 정책당국 모두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하지만 이 가설은 2000년대 중반 이후 들어맞지 않는다는 점이 속속 밝혀지기 시작했다. 선진국 투자자들이 신흥국 국채 시장(신흥국 통화 표시 채권)에 투자하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다. 이후 원죄 이론의 소멸 원인에 관해 규명하고자 다양한 후속 연구가 잇따랐다.

연구팀은 2005~2019년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동유럽·중남미 등 21개 국가를 분석했다. 그 결과 국채를 중심으로 한 신흥국 채권시장 발달이 선진국이 신흥국 통화표시 채권에 대한 투자를 늘린 주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부문 채권시장 규모와 외국인이 보유하는 신흥국 통화표시 채권 잔액이 강한 ‘양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파악됐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일견 당연한 내용일 수 있지만 한 국가의 채권시장 규모를 키우는 것은 신흥국 스스로 노력으로도 가능한 일인데, 노력을 통해 충분히 많은 해외 자본을 채권시장으로 끌어들일 수 있다는 이야기”라며 “해외 투자자들이 신흥국의 채권을 살 의사는 있었는데, 과거엔 채권시장이 없거나 규모가 너무 작아서 살 채권이 없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물가안정 목표제’의 도입 역시 이런 현상에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2000년 이후 여러 신흥국이 이를 도입해 물가 안정성이 제고되면서, 대외 자본이 신흥국 채권시장에 더 많이 유입됐다는 것이다. 실제로 물가가 물가 목표치에 근접할수록 해외 투자자가 더 많은 신흥국 통화 표시 채권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신흥국 채권을 보유한 해외 투자자들의 경우 해당 국가의 통화 가치 변동에 민감해 중앙은행 신뢰성을 중시하게 되는데, 이런 실증 분석 결과는 해외 투자자들이 물가 안정을 통화당국의 신뢰성의 평가 기준으로 삼고 있다는 증거로 해석될 수 있다”고 했다.

이어 “이런 분석 결과는 자본시장 육성을 통해 유동성을 높이고, 물가 안정을 통해 중앙은행의 신뢰성을 확보하면 신흥국도 충분히 자국 통화로 대외 자본을 조달해 원죄 가설 속박에서 벗어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의미를 밝혔다.

정진용 기자 jjy4791@kukinews.com
정진용 기자
jjy4791@kukinews.com
정진용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