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아고라’ 기후위기 심각…“기후 피해자 포용·회복”

‘청년아고라’ 기후위기 심각…“기후 피해자 포용·회복”

국종성 “기후위기 해수면 급상승…투발루 기후난민”
김선률 “기후난민 포용·회복력 높여야”
황석진 “각자 자리에 최선을 다해야 해”
황인성 “정치·정책 변화…정쟁 멈춰야”

기사승인 2023-10-19 16:56:56
국종성 포항공과대학교 환경공학부 교수가 19일 국회 제1세미나실에서 열린 ‘청년아고라-기후 위기, 더 이상 물러날 수 없다’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임형택 기자

청년들이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목소리를 높였다. 기후위기는 데이터로 보는 것보다 심각하다는 지적이다. 위기 극복을 중점에 두고 자기 일로 느껴야 한다는 설명이다. 특히 정치권의 발 빠른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9일 국회 제1세미나실에서 열린 ‘청년아고라-기후 위기, 더 이상 물러날 수 없다’에는 국종성 포항공과대학교 환경공학부 교수가 기조발제로 각종 경고를 남겼다.

국 교수는 “1900년대부터 지금까지 해수면이 상승하고 있다. 1년에 0.6mm 증가한 해수면은 1960년대 1.4mm, 최근에는 3.3mm로 급격히 커지고 있다”며 “인도네시아 수도 자카르타는 해안침수를 막기 위해 벽을 사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투발루섬은 수년 후 잠겨 기후 난민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며 “우리나라도 해수면이 2m 상승하면 침수가 예상되는 지역이 많다”고 설명했다.

우리나라의 기후변화의 현주소를 지적하기도 했다. 지표는 △2020년 기후변화대응지수(CCPI) 61개국 중 58위 △온실가스 배출 세계 7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이산화탄소 배출량 증가율 1위 △OECD 국가 중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하위 2위 △석탄발전 비중 상위 4위 △기후악당국가 △WEF(다보스포럼) 2018년 환경성과 지수 세계 180개국 중 60위 등이다.

신지영 한국환경연구원은 기후위기 대응 ‘인식’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그는 “기후변화가 일상생활 관련 여부는 높다고 대답하지만 사회와 개인의 관련 여부는 크게 차이난다”며 “기후 변화 피해는 동식물과 미래세대, 저소득국가, 자국, 공동체, 가족, 나 순으로 인지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기후변화 속성으로 이런 반응이 나타난다”며 “경쟁 집단 간 손해를 배분해야 하는데 그 동의를 끌어내기 쉽지 않다. 단기이익보다 더 매력적인 부분이 없는 것도 문제”라고 강조했다.

청년 토론자들은 포용력과 회복력, 정치권의 관심, 이해 관계자의 우려, 정부의 변화, 기성세대의 무관심 등을 지적했다.

김선률 기후변화청년단체 GEYK 부대표가 19일 국회 제1세미나실에서 열린 ‘청년아고라-기후 위기, 더 이상 물러날 수 없다’에서 토론하고 있다. 사진=임현범 기자

김선률 기후변화청년단체 GEYK 부대표는 “기후위기 속도를 늦추기 위해 감축정책을 펼치고 있지만 이미 셀 수 없는 사람이 죽고 터전을 잃었다”며 “지난해 기후변화로 이주한 것은 3260만명으로 10년 평균보다 41%가 높다”고 강조했다.

또 “기후위기 피해를 본 이들에게 포용·회복력을 키워야 한다”며 “급진적이고 과감한 방식에 거부감과 우려를 표하기도 하지만 위기 극복을 위해 담대하고 위대한 걸음이 필요하다”고 소리 높였다.

황석진 기후커뮤니티 턴테이블 공동대표는 각자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시작된 기업 이니셔티브인 ‘RE100’을 비롯해 다양한 변화가 이뤄지고 있다”며 “과학자와 정부, 국회, 언론, 시민, 기업 등 모든 이해관계자의 노력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각자 해야 할 일을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아현 대학생기후행동 대표는 “1.5도 극적 전환점까지 지구에 남은 시간은 5년 정도 남았다. 많은 사람이 위기를 말하지만 사회는 변화하고 있지 않다”며 “친원전 정책도 핵폐기물 등이 발생해 완전한 해답이 될 수 없다”고 질타했다.

그러면서 “기후위기를 알리고 싶지만 기자 없는 기자회견 등 알릴 수 있는 환경이 조성돼 있지 않다”며 “정치와 사회, 언론에서 이를 귀기울여 줬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황인성 쿠키뉴스 기자는 정치권의 소극적 태도를 비판했다. 그는 “정부가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지만 국민이 공감하는 뚜렷한 (기후위기 대응) 정책성과는 내지 못했다”며 “여의도 국회상황도 비슷하다. 지난해 말 출범한 기후특위는 현재까지 4번의 회의를 열었지만 방향성도 결정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정쟁 위주의 정치권의 행태도 현실적인 기후위기 대응책 미흡의 주요 원인”이라며 “정치 셈법에 따른 정쟁 때문에 진지한 여야의 논쟁은 사라진 지 오래다. 정치권이 이를 진지하게 해야 할 일”이라고 꼬집었다.

임현범 기자 limhb90@kukinews.com
임현범 기자
limhb90@kukinews.com
임현범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