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조사는 동아대 긴급대응기술정책연구센터가 국민안전의 날(4월 12일)을 맞아 실시한 것이다. 2014년 세월호 사고 이후 재난관리를 주제로 8회째 이어져오고 있는 국내외 유일한 정기 조사다.
조사에 참여한 국민들은 ‘우리나라는 대형 사회재난으로부터 안전하지 않다(60.3%)’고 응답했으며 ‘안전하지 않다’고 응답한 사람들은 ‘안전에 대한 책임은 중앙정부(34%)와 대통령(41.4%)에 있다’고 응답했다.
‘안전하지 않다’고 응답한 비율은 △2020년 48.8% △2021년 51.6% △2022년 55% △2023년 64.6% △2024년 60.3%로, 2020년 대비 올해 11.5%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안전하지 않다’고 응답한 사람들 중 안전에 대한 책임이 ‘대통령에 있다’고 한 비율은 △2020년 17.5% △2021년 17.2% △2022년 16.7% △2023년 33.7% △2024년 41.4%로, 2020년 대비 올해 23.9%p 증가했다.
조사에 응한 사람들의 68.7%는 ‘자신이 세월호 사고와 같은 대형 참사를 겪을 것으로 걱정한다’고 응답했다. 대형참사에 대한 걱정은 △2020년 66.3% △2021년 65.5% △2022년 63.8% △2023년 68.8% △2024년 68.7%로, 2020년 대비 올해 2.4%p 증가했다.
응답자들은 중앙정부(59.9%)와 지방자치단체(56.8%)의 재난에 대한 인식과 준비 정도는 나아지지 않았다고 인식했다. ‘중앙정부가 나아지지 않았다’는 응답은 △2019년 53% △2020년 39.1% △2021년 47.8% △2022년 51.9% △2023년 60.5% △2024년 59.9%였다.
응답자들은 또 정부가 재난 대비를 위한 인적자원(인력·전문성 등)(62.6%)과 물적자원(장비·물품 등)(59.1%)을 잘 확보하지 못한다고 답했다.
‘인적자원을 잘 확보하지 못한다’는 비율은 △2018년 70% △2019년 70% △2020년 40.6% △2021년 48.9% △2022년 55.1% △2023년 73.8% △2024년 62.6%으로, 최저점(2020년) 대비 2024년 응답율이 22.6%p 증가했다.
‘물적자원을 잘 확보하지 못한다’는 비율은 △2018년 69% △2019년 66% △2020년 46.9% △2021년 48.3% △2022년 51.6% △2023년 68.7% △2024년 59.1%로, 최저점(2020년) 대비 2024년 응답율이 12.2%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대규모 참사에서 재난 컨트롤 타워는 ‘대통령’(44.2%)이라고 인식했고, 대규모 참사에서 효과적이지 않은 대응 및 수습을 수행한 주체는 ‘국회(79.2%)’로 인식하고 있었다.
동아대 긴급대응기술정책연구센터는 “이번 조사 결과를 종합하면 응답자들은 이태원 참사 이후 우리나라가 대형 사회재난으로부터 안전하지 않다고 인식하며 자신 또한 대형 참사를 겪을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다”며 “특히 이태원 참사 이후 재난 대응의 책임 소재가 대통령에게 있다고 여기는 경향이 증가했는데 이는 주관적인 이념 성향에 따라서 대통령에 책임을 더 부과하는 경향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번 조사는 전국의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지난 5일부터 8일까지 웹조사(휴대전화 문자와 이메일을 통해 url 발송) 방법으로 실시됐다. 표본오차는 무작위추출을 전제할 경우 95% 신뢰수준에서 최대허용 표집오차는 ±3.1%p다.
부산=최광수 기자 anggi4@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