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단법인 니트생활자는 공백기를 보내는 청년들의 사회적 관계망을 만드는 커뮤니티 활동을 하고 있다. 우리는 지난 2019년부터 공백기를 보내는 20~30대 청년들을 1,000명 이상 만나오며 공백기의 문제는 개인이 아닌 사회가 먼저 바뀌어야 해결할 수 있다는 걸 알게 됐다. 각기 다른 이유로 공백기를 보내는 청년들의 이야기를 통해 앞으로 우리 사회가 어떤 변화를 만들어 가야 할지 고민해 봤으면 좋겠다.
이번 기고에는 현재 공백기를 보내고 있는 청년 4명(닉네임 나초, 믱주, 해요, 영)의 이야기를 담았다.
공백기를 갖게 된 상황을 소개해 주세요.
믱주-저는 2년 반 정도 긴 공백기를 가졌어요. 그러다 코로나 팬데믹 시기에 운 좋게 공공기관에 취업했어요. 하지만 팬데믹 시기가 끝나며 일방적인 계약 만료로 다시 공백기가 시작됐어요. 저는 1인 가구라 생활비 부담이 커서 최대한 빨리 취업하려고 합니다.
영-저는 패션 회사에서 일했어요. 최저임금보다 낮은 월급, 야근이나 밤샘이 일상인 노동 환경이었어요. 일하며 공황장애가 생겼고, 내 성격과 이 업계가 맞지 않다고 생각하게 되어서 나왔어요. 이후 1년 정도의 공백기를 무기력하게 보냈어요. 현재는 지인 소개를 통해 프리랜서로 글을 쓰고 있어요. 벌이는 적지만 다행히 저와 잘 맞아서 1년 가까이 해오고 있어요.
나초-저는 대학 마지막 학기에 휴학했어요. 팀 프로젝트 스트레스가 심했어요. 휴학하고 6개월은 집안일을 하면서 쉬었어요. 그러다 최근에 알바를 시작했고, 공백기를 보내는 청년들과 커뮤니티를 통해 일상을 되찾았어요. 건강, 정신 모두 많이 나아진 상태입니다.
해요-지난해 한방병원에 첫 취업을 했어요. 약재 관리하고, 환자들 복약 지도하는 일을 했어요. 평상적인 업무이다 보니 일을 배우면서 성장하고 싶다는 욕구가 채워지지 않더라고요. 사수가 있는 곳으로 재취업을 하거나 내가 가진 콘텐츠로 창업을 해봐도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공백기를 가지게 되었어요.
공백기를 보내며 어려웠던 건 무엇일까요.
믱주-일을 쉬고 있다고 하면 주변에서 “젊은 사람이 왜 쉬냐?”라고 물어요. 어떤 사람은 “내가 아는 남자가 있는데 한번 만나보겠냐”라고도 하고요. 선의로 하는 이야기겠지만, 공백기가 길어지다 보니 감정적으로 위축이 되면서 그런 말들이 짜증이 나더라고요. 무엇보다 제일 힘들었던 건 저의 못난 마음이었어요. 자기 비하를 하는 상황이 길어졌고, 터널 속에 갇힌 것처럼 시야가 좁아지더라고요. 그 상황에서 빠져나오기도 힘들고요.
나초-공백기에 혼자 집에 있는 시간이 길어지며 불안이 컸어요. 상황을 바꿔야 하는데 집에만 있다 보니 계획을 실행하기 힘들고, 유튜브나 쇼츠에 빠지더라고요. 정신의학과를 찾아갔는데 ADHD와 약간의 공황 그리고 불안이 있다고 하더라고요. 약을 먹고 많이 좋아졌어요. 또 알바를 시작하면서 사람들과 상호작용을 하니까 자신감이 생기더라고요. 사람은 사회적 동물이라는 말이 맞아요. 아무리 내향적인 사람이라도 혼자만의 동굴에 갇혀 있으면 바닥까지 떨어지기 쉬워요.
영-공백기에는 가족, 친구를 만나도 제 상태를 솔직하게 이야기하지 못했어요. 괜찮은 척을 했어요. SNS에서 타인의 화려한 삶을 보니 더 괴로운 거예요. 저 자신 그대로 존재할 수 없다는 감정이 제일 힘들었어요.
해요-공백기에는 불안을 느끼다 보니 무기력해지더라고요. 스트레스를 받으니까 자꾸 먹게 되고, 밖에 나가지 않으니까 운동을 하지 않게 되고요. 자꾸 살이 찌는데 그런 내 모습이 보기 싫으니까 더 밖에 안 나가게 됐어요. 그렇게 생긴 자책이나 열등감이 힘들었어요.
공백기, 개인과 우리사회에 필요한 건 무엇일까요.
믱주-실업급여 개편이 필요한 것 같아요. 저는 운 좋게 실업급여를 받았지만, 그렇지 못한 일자리도 많아요. 가족을 부양해야 하는 사람이 실업급여로 공백기를 보내기에는 금액이나 기간이 부족해요. 현재는 2024년인데 실업급여는 1960년대에 머물러있지 않나 싶어요. 사회보장 제도들도 시대에 맞게 바뀌어야 해요.
나초-공백기를 보내는 사람들이 서로 일상을 공유하고,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커뮤니티가 정말 중요해요. 나를 지켜봐 주는 사람이 있다는 것만으로도 지금보다 더 잘해보고 싶다는 마음이 생기거든요.
영-사회 인식 개선이 필요해요. 공백기에 있는 사람도 일하고 싶고, 사회 구성원으로서 잘 살아가고 싶거든요. 은둔, 고립 청년들에 대한 기사만 보더라도 심한 댓글들이 많이 달리잖아요. 참사를 당한 유족이나 장애인 같은 사회적 약자를 대하는 사람들의 태도도 비슷해요. 우리 사회가 타인의 고통을 이해하려는 마음을 가졌으면 좋겠어요.
해요-제 사촌이 프랑스인과 결혼해서 한국에 잠깐 들어왔는데 한국은 타인을 너무 신경 쓴다고 이야기하더라고요. 프랑스는 한국과 다르게 사람들이 서로의 시선에 구애받지 않는 것 같아요. 우리도 그렇게 타인을 바라보면 좋겠어요. 그럼 공백기를 가진 이들을 문제 있는 사람으로 보는 분위기가 사라지지 않을까요.
나에게 공백기란 어떤 시간일까요.
믱주-공백기는 누구나 거칠 수 있는 일종의 통과 의례라고 생각해요. 통과 의례를 거치면 성인이 된다고 하잖아요. 그러면서 성숙해지는 것 같아요.
영-100세 시대를 생각했을 때 평생 일을 한다고 가정하면 아득하거든요. 사람은 쉬지 않을 수 없어요. 그래서 저에게 공백기는 자연스러운 공기 같은 것이라고 생각해요.
해요-나로 바로 서는 연습을 하는 시간 같아요. 가장 암울한 시기에 자존감을 높이는 연습을 하는 시간이요.
니트생활자 admin@neetpeopl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