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식욕 자극 먹방콘텐츠 차단시스템' 최우수논문상

KAIST '식욕 자극 먹방콘텐츠 차단시스템' 최우수논문상

식이장애 환자 음식 강박증 완화 효과
음식 소비 감소, 유튜브 추천 알고리즘 변화

기사승인 2024-05-20 11:14:49
식이장애를 앓는 사람들이 유튜브나 SNS에서 먹방 등 음식콘텐츠에 노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시스템이 개발돼 화제다.

KAIST는 지난 16일(현지시각) 미국 하와이에서 열린 세계컴퓨터연합회(ACM) 주최 '컴퓨터 인간 상호작용 학술대회(CHI)'에서 전기및전자공학부 이성주 교수팀이 식이장애 환자가 디지털 음식콘텐츠와 접촉하지 않도록 실시간 개입하는 시스템을 제시해 최우수 논문상을 받았다고 20일 밝혔다.

이 시스템은 심리학의 ‘두 체계 이론’에서 영감을 받아 소셜미디어 사용자가 디지털 음식콘텐츠를 소비할 때 더 의식적으로 평가한 후 시청에 관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한다. 

두 체계 이론(Dual Systems Theory). KAIST

디지털 음식콘텐츠의 시각⋅청각 자극은 사용자의 반사적 시청 등 자동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연구팀은 실시간 음식콘텐츠를 가리고 음을 소거해 자동반응을 차단하고, 대신 사용자에게 의식적인 콘텐츠 선택과 소비를 위한 질문을 제공해 사용자가 스스로 보다 건강한 콘텐츠 소비를 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이를 토대로 연구팀은 식이장애 환자 22명을 대상으로 3주간 사용자 스터디를 통해 시스템 평가를 진행했다. 

평가 결과 실험집단에서 유튜브 음식 콘텐츠 노출 및 소비의 유의미한 감소와 더불어 유튜브 콘텐츠 추천 알고리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했다.

스마트폰 유튜브 앱에서 실시간 음식 콘텐츠를 검열하고 개입하는 예시. KAIST

특히 참가자들은 본 시스템이 음식 관련 콘텐츠를 시청하는 자동반응을 억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했다.

이는 연구팀의 시스템이 일상에서 식이장애 환자의 음식에 대한 강박을 완화해 더 나은 삶의 질을 제공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 교수는 “이 시스템은 사용자가 디지털 콘텐츠를 건강하게 소비하는 방법을 지원하는 적응형 개입의 설계방향과 사용자 행동변화를 촉진하는 콘텐츠 관리방법이 될 것”이라며 “이를 음식콘텐츠뿐 아니라 폭력물이나 선정적 콘텐츠 등 다양한 주제로 적용할 수 있어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최류해랑 박사과정이 제1저자, 박수빈 석사과정이 제2저자, 한수진 석박통합과정이 제3저자, 이성주 교수가 교신저자로 참여했다.

대덕특구=이재형 기자 jh@kukinews.com
이재형 기자
jh@kukinews.com
이재형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