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10일 (목)
WHO, ‘제2의 코로나19 대비’ 국제 대응협약 불발

WHO, ‘제2의 코로나19 대비’ 국제 대응협약 불발

기사승인 2024-05-25 13:34:23
세계보건기구(WHO) 청사 앞 현판 로고. 로이터 연합뉴스
김은빈 기자
eunbeen1123@kukinews.com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 대유행에 대처하기 위한 국제협약 체결이 끝내 실패했다. 

AFP 통신, 연합뉴스 등에 따르면 롤랜드 드리스 세계보건기구(WHO) 협상위원회 공동대표가 24일(현지시각) 회원국들이 협약 초안 합의를 이루지 못했음을 인정했다.

그간 각국은 코로나19 유행 이후 2년간 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팬데믹) 예방과 준비, 대응에 대한 구속력 있는 협약을 도출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WHO 회원국들이 지난 2021년 WHO가 대처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협상을 주도하도록 요청한 데 따른 것이다.

협상은 막판에 탄력을 받는 듯 했으나 WHO 회원국 대표들이 한 데 모이는 제77차 세계보건총회 시한을 맞추는 데 실패했다. 다만 초안의 일부 조항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합의하기도 했다. 향후 방향에 대해선 오는 27일부터 내달 1일까지 이어지는 세계보건총회에서 검토, 결정할 예정이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협상이 끝난 뒤에도 “협상이 실패한 것은 아니다. 할 수 있는 모든 노력을 다해 성사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협상에서의 쟁점은 팬데믹 병원체 접근과 이익공유 조항이었다. 각국이 발견된 병원체의 표본과 유전자 서열을 신속하게 공유하는 것을 두고 이견이 좁혀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정보는 진단 검사와 백신, 치료제를 신속히 개발하는 데 중요하기 때문이다.

부국과 빈국 사이 입장차가 존재했다. 아프리카 국가들을 포함한 저소득 국가들은 개발된 진단 검사, 백신, 치료제에 대한 빠르고 공평한 접근으로 이 같은 정보에 대한 보상을 받기를 원했다. 또 제약사에 자국 업체들이 낮은 가격에 해당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정보를 공유할 것을 요구했다. 

반면 스위스, 미국 등은 자국 제약 산업에 영향을 줄 수도 있는 조항을 수용하기를 꺼리고 있다. 아르헨티나 등은 식용 고기 수출에 대한 규제 강화에 반대했다.

김은빈 기자 eunbeen1123@kukinews.com
김은빈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이재명 ‘10분 다큐’로 대선 출마 선언…“진짜 대한민국 만들 것”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가 영상을 통해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마를 선언했다.이 전 대표는 10일 공개한 출마 선언 영상에서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위대함은 헌법 제도 그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제도를 가지고 사는 우리 국민 스스로의 위대함"이라고 밝혔다. 이어서 그는 "깊고 깊었던 겨울을 국민들이 깨고 나오는 중이다. 따뜻한 봄날을 꼭 (함께) 만들었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 전 대표는 오는 11일 비전선포식을 통해 '진짜 대한민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