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건강검진에서 복부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며 담낭 용종이 발견되는 빈도가 높아졌다. 대부분은 양성이지만 담낭 용종의 3~8% 정도는 악성으로 보고되고 있어, 정기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
담낭은 간에서 생성된 담즙을 저장하는 기관으로 간의 바로 아래쪽에 인접해 있다. 여기에 생기는 혹이 담낭 용종이다. 담낭 용종은 크게 비종양성 용종과 종양성 용종으로 나뉜다. 비종양성 용종에는 콜레스테롤 용종, 염증성 용종, 선근종증 등이 있다. 종양성 용종에는 선종과 암이 해당한다. 담낭 용종의 대부분(98%)은 비종양성 용종이다. 그 중 절반 이상은 콜레스테롤 용종으로, 10mm 이하 크기의 무증상 용종일 경우 수술 등의 적극적 치료 없이 경과 관찰 및 영상검사 추적을 하게 된다.
담낭 용종의 3~8% 정도는 악성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담낭암은 5년 생존율이 5%에 불과해 치료 경과가 좋지 않은 편에 속한다. 또한 주변 장기로 전이되는 사례가 잦고 재발율도 높아 치료시기를 놓치면 완치가 어렵다. 다만 조기에 발견되는 경우엔 담낭절제술로 완치를 기대할 수 있다.
담낭 용종의 유무는 복부 초음파 검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수술 후 조직 검사를 하기 전까지는 그 어떤 검사로도 양성과 악성을 완벽히 판별해 낼 수는 없다. 담낭 벽의 두께는 2mm 정도로 굉장히 얇다. 그 내부에는 소화 효소가 있어 미세한 구멍이라도 뚫리면 소화 효소가 복강 내로 새어 나와 복막염을 일으키고 생명을 위협할 수 있기 때문에 조직 검사를 하지 않는다. 수술 전까지는 영상의학적 방법으로 악성 유무를 감별할 수밖에 없다.
최정완 고려대 안산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보통 용종의 크기가 5mm 이상이면서 콜레스테롤 용종인지 종양성 용종인지가 확실하지 않은 경우에는 정밀 검사가 필요하다”며 “복부초음파 검사보다 담낭 용종 감별에 우월한 내시경 초음파 검사나 복부 CT·MRI를 추가적으로 실시한다. 용종의 정확한 크기, 개수, 모양, 혈관 포함 여부 및 담낭벽의 층구조 등을 다양하게 분석해 악성 용종 진단율을 높일 수 있다”고 5일 설명했다.
담낭 용종의 치료는 환자의 연령, 증상, 용종의 위험인자 내포 유무 등에 따라 다르다. 악성 용종의 가능성이 높은 케이스를 선별해 조기 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주된 치료 전략이다. 일반적으로 담낭 용종은 증상이 거의 없으나 드물게 복통 같은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용종의 크기와는 무관하게 담낭절제술을 진행할 수 있다. 무증상일 때에도 크기가 10mm 이상이면 여러 검사 소견들을 바탕으로 수술을 시행할 수 있다. 또한 크기가 6~9mm 정도일지라도 위험인자(50세 이상의 나이, 담낭 결석 동반 등)가 있을 때는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담낭 용종의 예방을 위해서는 고지방식이나 고칼로리식은 피하고 균형 잡힌 식단을 갖는 게 좋다. 적절한 운동을 통해 평소 표준 체중을 유지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무엇보다 정기적인 검진으로 악성 용종을 조기에 진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 교수는 “용종의 크기가 10mm 이하이면서 증상이 없는 경우는 대부분 양성이지만 일부에서는 악성 종양으로 발전할 수 있어 정기적인 검진이 필수적”이라며 “경우에 따라서는 충분한 경험이 있고 다양한 장비의 활용이 가능한 의료기관에서 내시경초음파를 비롯한 정밀 검사로 종양을 정확히 감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은빈 기자 eunbeen1123@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