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 사망자 수가 1만3978명으로 지난해보다 8.3%(1072명) 늘었습니다. 자살 문제는 곧 사회구조적 문제이고, 총체적이고 종합적인 대책 수립이 필요합니다.”
김교흥 국회자살예방포럼 공동대표(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는 16일 국회 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린 ‘2024 제7회 국회자살예방포럼 국제세미나’에 참석해 이같이 밝혔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자살률 1위에서 벗어나기 위해 정부가 해마다 새로운 정책을 내놓고 있지만, 자살률은 좀처럼 떨어지지 않고 있다. 통계청의 ‘2023년 사망원인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인구 10만명당 자살 사망자수인 자살률은 8.5%로 집계돼 9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고의적 자해인 자살 사망자수는 전년보다 1000명 가까이 늘어난 1만3978명으로 집계됐다. 자살률은 2년 만에 상승세로 돌아서 지난해 27.3명을 기록했다.
이날 세미나는 ‘자살 예방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을 주제로 한국과 싱가포르, 영국의 전문가들이 참석해 머리를 맞댔다.
고옌리 싱가포르 국립정신건강연구소 교수는 싱가포르의 자살과 정신건강 정책을 소개하고 △정신적 회복력과 위기지원 정책 △국가 정신건강 및 웰빙 전략 △효과적인 정신건강 생태계 조성 필요성 등을 강조했다.
이어 캐롤린 문 영국 노스 런던 정신건강 보건국 포렌식 법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생명 존중에 대한 영국의 정신보건법과 국가 시스템’을 주요 내용으로 발표했다. 그는 정신 응급환자들을 위한 영국의 예산(1억5000만파운드)과 지역사회 정신건강팀의 역할에 대해 소개했다.
자살은 ‘사회적’ 문제로 전담 기구와 정부의 강력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이윤호 안전생활실천시민연합(안실련) 사무처장은 “자살 예방을 전담할 수 있는 보건복지부의 ‘자살예방정책국’ 설치의 필요성과 현재 선진국 수준의 예산확보를 위한 ‘자살예방기금’을 조성하기 위해 활발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직속 자살예방위원회 설치’를 촉구했다.
정점식 국회자살예방포럼 공동대표는 “자살 사망자의 대부분이 사망 전 경고신호를 보내지만 주변인이 그 신호를 인식하는 비율은 22.7%에 그친다”며 “국가적 차원에서 자살에 대한 공동의 관심을 높이고 정책적 지원을 지속할 때 안타까운 자살도 줄여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