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12일 (토)
셀트리온, 美 학회서 악템라·프롤리아 시밀러 3상 결과 발표

셀트리온, 美 학회서 악템라·프롤리아 시밀러 3상 결과 발표

CT-P47·CT-P41, 유효성·안전성 확인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라인업 강화

기사승인 2024-11-19 13:26:39
쿠키뉴스 자료사진
신대현 기자
sdh3698@kukinews.com

셀트리온이 ‘2024 미국 류마티스학회 연례회의’(ACR)에서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2종에 대한 임상 3상 결과를 발표했다.

셀트리온은 지난 14~19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ACR에서 ‘악템라’(성분명 토실리주맙)의 바이오시밀러인 ‘CT-P47’과 ‘프롤리아’(성분명 데노수맙) 바이오시밀러 ‘CT-P41’에 대한 글로벌 임상 3상 데이터를 추가로 공개했다고 19일 밝혔다.

셀트리온은 류마티스 관절염(RA) 환자 47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CT-P47 글로벌 임상 3상 52주 결과를 통해 CT-P47 교체 투여 환자군에서 유효성을 입증했다. CT-P41의 임상 3상 결과와 사후 분석 데이터도 추가 공개했다. 폐경 후 골다공증이 있는 여성 환자 479명을 대상으로 이뤄진 78주 평가 결과에 따르면 CT-P41과 오리지널 의약품 투여군 간 1차 유효성 평가지표는 동등성 기준에 부합했다. 

오리지널 의약품 투여 후 52주차에 CT-P41로 교체 투여한 환자군과 CT-P41 및 오리지널 의약품 유지군에서도 78주차까지 유효성과 안전성에서 유사성을 확인했다. CT-P41 투여군은 오리지널 의약품 투여군과 마찬가지로 면역원성을 의미하는 항약물항체가 유효성, 약동학, 안전성에 미치는 임상적 영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셀트리온은 이번에 발표한 CT-P47과 CT-P41의 임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빠르게 확대해 나가겠다는 방침이다. CT-P47과 CT-P41은 현재 미국과 유럽을 비롯한 세계 주요국에서 허가 절차가 이어지고 있다. 신규 2종 바이오시밀러 허가가 완료되면 기존 자가면역질환 영역에서 치료제 라인업이 더 탄탄해질 뿐만 아니라, 골 질환 등 치료제 영역도 확장돼 시장 내 경쟁력이 강화될 전망이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이번 학회에서 CT-P47과 CT-P41의 글로벌 임상 3상 데이터를 추가로 공개해 유효성과 안전성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며 “두 바이오시밀러는 셀트리온의 차세대 먹거리로 자리 잡을 후속 파이프라인인 만큼 조속히 시장에 선보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신대현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제카’ 김건우 “T1, 경기력 뛰어나…잘 대비해서 승리할 것”

‘제카’ 김건우가 T1의 경기력을 고평가하면서도 철저한 준비를 통해 승리하겠다고 다짐했다.한화생명e스포츠는 지난 9일 서울 종로구 롤파크 LCK 아레나에서 열린 ‘2025 LCK’ 정규시즌 1라운드 DN 프릭스와 경기에서 풀세트 접전 끝에 세트스코어 2-1로 승리했다. 개막전 패배 후 연승에 성공한 한화생명은 2승1패를 기록했다. 경기 후 쿠키뉴스와 만난 김건우는 “첫 연승을 이룬 게 너무 좋다. 2세트 아쉬운 부분이 있었지만 피드백하면서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