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구정지된 원전을 안전하게 해체하는 기술을 개발할 한국원자력환경복원연구원이 문을 열었다. 글로벌 원전해체 시장 확대 흐름 속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전망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일 부산 기장군 원자력환경복원연구원 본원에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관계자, 산·학·연 인사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연구원 개원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연구원은 국내 초기 원전인 고리1호기와 월성1호기가 각각 2017년, 2019년 영구정지됨에 따라 원전해체 기술의 자립을 통해 안전한 해체 작업을 지원하고, 해외 원전해체 시장 진출의 기술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설립된 비영리 공익법인이다.
원전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원전해체 시장 규모는 지난해 기준 492조원 규모로, 전 세계 영구정지 원전은 211기, 운영원전은 415기다. 해체 준비 중인 원전은 89기다. 다만 영구정지 원전 중 실제로 완전 해체된 사례는 총 22건(미국 17건, 독일 4건, 일본 1건)에 불과해 관련 시장은 오는 2030년 이후부터 본격화될 전망이다.
우리나라에선 고리1호기가 내년 상반기 해체 승인을 계획하고 있고, 월성1호기의 경우 해체계획서를 수립해 주민 수용 등 절차를 거쳐 정부에 신청한 상태로 2027년 해체 승인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에 연구원은 앞으로 국내 원전해체 산업의 종합 플랫폼으로서 관련 산업 육성과 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거점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 연구원은 실증을 거쳐 원전해체 기술을 고도화하는 역할을 맡는다. 원전해체 폐기물의 방사능 핵종과 농도를 분석하고,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안전하고 효율적인 원전해체를 지원한다.
또 해체 기술 사업화를 지원하고 전문 인력을 양성해 국내 원전해체 산업 육성과 글로벌 시장 진출도 지원할 계획이다.
연구원은 우선 완공된 본원 시설을 활용해 방사화학분석, 연구개발 업무를 수행하고 현재 별도로 공사가 진행 중인 실증 분석동과 경주에 별도로 건립 중인 중수로해체기술원도 오는 2026년까지 완공해 관련 인프라 구축을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출범 인력은 약 50명으로 향후 시설과 장비 구축 확대에 따라 인력도 점진적으로 충원한다.
최남호 산업부 제2차관은 개원식 축사에서 “지속 가능한 원전 산업 생태계를 위해 원전 해체와 사용 후 핵연료 관리 등 후행 주기 기술 확보가 필요하다”며 “원자력환경복원연구원은 우리나라가 글로벌 원전 해체 기술 선도국으로 도약하는 데 구심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 2022년 12월 산업부는 ‘2030 글로벌 원전해체 시장 본격 진출’을 목표로 기술, 시장, 인프라 부문서 3대 추진 전략을 발표하고, 해외수주 1억달러, 전문기업 40개 육성, 전문인력 2000명 양성을 목표로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