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염된 물을 마시고 뇌에 기생충이 발견된 환자의 치료 사례가 보고됐다.
서울대병원 신경외과 백선하 교수와 순천향대서울병원 신경외과 박혜란 교수 공동 연구팀은 뇌종양으로 오인됐던 뇌 기생충 감염을 규명하고 이를 제거하는 데 성공했다고 30일 밝혔다.
연구팀은 스파르가눔증 기생충 감염으로 인해 뇌에서 병변이 발생한 40대 환자를 진단·치료해 학계에 보고했다. 스파르가눔증은 유충이 체내에 침투해 혈류를 통해 뇌로 이동하면서 생기는 기생충 감염 질환이다.
주로 오염된 물을 마시거나 익히지 않은 동물의 고기 또는 생선을 먹었을 때 발생할 수 있다. 감염된 기생충이 뇌로 이동하면 두통과 구토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시간이 지나면 발작, 시야 결손, 감각 이상 등 신경학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연구팀이 주목한 환자는 심한 두통과 구토를 호소하며 서울대병원을 찾았다. 환자는 자기공명영상(MRI) 검사를 진행했을 때 뇌 왼쪽 뒷부분에서 병변이 보여 뇌종양이 의심됐다. 의료진은 수술을 권유했지만 환자는 증상이 호전되자 치료를 거부하고 퇴원했다.
7개월 후 환자는 다시 극심한 두통과 전신 발작 증세를 갖고 병원을 방문했다. 후속 MRI 검사에서는 병변이 뇌의 좌측 후두엽에서 왼쪽 꼭대기 부근인 좌측 두정엽으로 이동한 것으로 관측돼 단순 뇌종양이 아닌 것으로 보였다. 또 환자는 과거 오염된 연못물을 마시고 날 생선과 익히지 않은 야생 동물 고기를 섭취한 적이 있었다.
의료진은 여러 상황을 종합했을 때 기생충 감염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고, 각종 검사를 이어가 스파르가눔증으로 진단했다. 이후 환자의 머리뼈를 여는 개두술을 통해 뇌에서 살아있던 스파르가눔증 유충을 제거했다.
백 교수는 “영상 검사에서 병변이 이동하는 경우 기생충 감염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며 “오염된 물을 피하고 동물의 고기나 생선을 충분히 익혀 먹는 등 개인위생 수칙을 지키는 게 예방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해당 연구 결과는 미국 신경학회 저널인 신경학(Neurology) 최근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