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소비시장 트렌드 키워드로 생존(Survival), 차세대(Next), 인공지능(AI), K컬처, 불황형 소비(Economical consumption) 등이 꼽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7일 발간한 ‘2025 유통산업 백서’에서 푸른 뱀의 해인 올해 소비시장 5대 키워드로 ‘S.N.A.K.E’를 선정했다.
유통산업 백서에는 △국내 소매업태별 동향·이슈 및 전망 △주요국 유통산업 동향 등 국내외 유통산업의 최신 동향·이슈와 전망이 담겼다.
국제 경제와 소비시장 정체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한정된 소비시장을 차지하기 위한 시장 내 생존(Survival)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실제 최근 소매시장 성장률은 2021년 7.5%를 정점으로 2023년 3.1%. 2024년 0.8%로 하락세를 보인다.
올해는 미국 통상 정책 변화와 국내 정치의 불확실성 고조 등으로 시장 성장률이 0.4%에 그칠 것으로 상의는 분석했다.
이에 따라 시장에서는 새로운 사업 모델(Next Biz 모델) 개발과 추가 수익 모델 개발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관측된다.
유통기업들은 오프라인 매장과 온라인 채널을 활용한 리테일 미디어 사업을 통해 수익성을 확보하고, 소비자간거래(C2C) 등 초개인화된 대화형 쇼핑 등에 주목할 것으로 보인다.
또 AI를 적극 활용해 인건비를 줄이고 비용구조를 최적화를 통한 비용과 운영 효율화 노력도 가속화될 전망이다.
시장조사업체 프레시던스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유통산업 내 AI 시장 규모는 2023년 99억7000만달러에서 2033년 549억2000만달러까지 약 5.5배 성장할 것으로 분석했다.
새로운 시장 창출을 위해 K컬처와 융합된 커머스도 한층 더 주목받을 것으로 보인다. 대표적으로 헬스&뷰티(H&B) 전문점인 올리브영과 무신사 등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아울러 경기 둔화와 불확실성 고조로 가격을 중시하는 불황형 소비(Economical consumption)가 전방위적으로 확산할 것으로 관측됐다.
특히 불필요한 물건 구매를 자제하고 꼭 필요한 것만 사는 이른바 요노(YONO·You Only Need One) 소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의는 “경기 침체와 불확실성 고조로 생존 경쟁이 더욱 치열해진 만큼 유통기업은 차세대 비즈니스 모델과 수익 모델을 찾아야 한다”며 “AI와 K컬처에서 성장 돌파구를 찾고, 가격 중시 소비 흐름에도 적극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