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7일 (수)
경상국립대 김주형 교수팀, '구조적 안정성 갖춘 나트륨 이온 배터리용 고성능 층상형 양극재' 개발

경상국립대 김주형 교수팀, '구조적 안정성 갖춘 나트륨 이온 배터리용 고성능 층상형 양극재' 개발

이종원소치환 통해 구조적 안정성과 나트륨 이온전도성 향상으로 높은 가역성 갖춰

기사승인 2025-01-20 14:38:37 업데이트 2025-01-21 14:34:15
강연만 기자
kk77@kukinews.com
경상국립대 대학원 나노신소재융합공학과 및 공과대학 나노·신소재공학부(세라믹공학전공) 김주형 교수(경상국립대 그린에너지융합연구소 전지연구센터장) 연구팀이 고상합성법을 활용해 나트륨 이온 배터리용 층상형 양극재를 개발해 이종원소 치환을 통해 층상형 양극재의 구조적 안정성 및 수명 특성을 향상시키는 소재를 개발해 주목받고 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신진연구지원사업 및 2024년도 경상국립대 글로컬대학30 사업비의 지원을 받았으며, 김주형 교수팀의 석사과정 정수환 씨가 제1저자로 논문에 참여했다. 

나트륨은 기존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리튬 이온 배터리와 유사한 화학을 지니고 있고, 풍부한 매장량으로 인해 차세대 배터리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리튬보다 무게가 무겁고 이온 반경이 큰 나트륨의 특성으로 인해 이온의 확산 및 저장이 상대적으로 어려워 소재와 비율에 따라 전지의 수명과 용량, 그리고 에너지 밀도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적절한 양극소재의 개발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이번 연구에서 개발된 층상형 양극재는 기존 니켈(Ni), 코발트(Co), 망간(Mn)으로 이루어진 층상형 구조에 전기화학적으로 반응에 참여하는 철(Fe) 원소를 일부 치환함에 따라 결정 구조 내에서 나트륨 이온이 더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사이트의 비중을 높여 구조적 안정성과 충·방전 과정 중 발생할 수 있는 상전이를 일부 완화해 높은 가역성과 향상된 전기화학적 성능을 보여줬다. 

기존 층상형 양극재는 충·방전 과정이 진행됨에 따라 과도한 이온의 삽입/탈리로 기존의 구조를 유지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이번 연구를 통해 개발한 양극재는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켜, 충·방전 과정 중에도 비교적 높은 이온전도도와 사이클링 안정성을 지니고 있어 나트륨 이온 배터리의 상용화에 한 걸음 더 나아갈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연구 성과는 우수성을 인정받아 엘스비어(Elsevier)에서 발행하는 이차전지 소재 분야 우수 SCIE 학술지인 '에너지 스토리지 머티리얼즈(Energy Storage Materials)'(I.F. 18.9, JCR Rank 상위 4.2%)에 게재됐다.

진주=강연만 기자 kk77@kukinews.com
강연만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이재명 대장동 재판’도 대선 이후로…6월24일로 기일 변경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파기환송심이 대통령 선거 이후로 밀린 데 이어, 대장동 재판도 대선 뒤로 미뤄졌다. 7일 법조계에 따르면 이 후보의 대장동·위례·백현동·성남FC 사건을 담당하는 서울중앙지법 형사33부(재판장 이진관)는 이날 5월 잡혀있던 재판 일정을 6월24일로 변경했다. 다음 달 3일 대선으로부터 3주 뒤 날짜다. 당초 대장동 재판은 오는 13일과 27일 각각 77·78차 재판이 예정돼 있었다.이날 오전 이 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