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인공지능(AI)이 환자의 입원부터 퇴원까지 모든 의무기록 초안을 자동으로 작성하고, 병원의 진료지침이나 규정 등을 대화형 질문을 통해 손쉽게 상담해줄 전망이다. 의무기록 초안 작성과 규정 확인을 생성형 AI가 대신 하게 되면 환자들을 살피는 의료진의 시간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림대학교의료원은 이같은 기능을 갖춘 생성형 AI 개발에 나섰다고 5일 밝혔다. 의료원은 지난해 12월30일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전문기업 코난테크놀로지와 ‘생성형 AI 기반 입원환자 전주기 기록지 작성 및 의료원 지식상담 플랫폼 구축’ 사업 계약을 맺었다. 양 기관은 의료 분야에 특화된 생성형 AI 플랫폼을 오는 7월까지 공동 개발하기로 했다.
새로 개발되는 생성형 AI 의무기록 작성 플랫폼은 환자 접수 시 입력된 데이터와 의료정보를 기반으로 의무기록 초안을 자동으로 생성한다. 의료원은 플랫폼 개발을 위해 의무기록지 종류별로 학습 자료를 선정·검토하고, AI로 생성된 의무기록지에 대한 검증을 진행했다.
생성형 AI 플랫폼이 도입되면 의무기록 작성시간이 절반으로 줄어들어, 연간 약 3만8000시간을 절약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의료진은 의무기록을 수기로 작성하고 있다. 의료원 산하 5개 병원에서는 연간 약 115만건의 의무기록이 작성되고 있으며, 한 건당 평균 약 4분이 소요돼 전체 작성시간은 연간 약 7만6000시간에 달한다.
또한 AI 기반 의무기록 작성은 정확성을 높이고 데이터의 표준화를 강화해 전자의무기록(EMR)의 품질 향상도 기대할 수 있다.
대화형 질문을 통해 표준진료지침, 보험급여 인정 기준 등 규정을 정확히 안내할 수 있는 생성형 AI 챗봇도 개발한다. 이 챗봇은 RAG(검색 증강 생성) 기술을 활용해 의료원 교직원을 위한 실시간 정보 검색과 맞춤형 상담을 지원할 예정이다. 웹과 모바일 디바이스 기기를 통한 상담은 24시간 제공할 계획이다.
한림대의료원 생성형AI 구축 태스크포스(TF) 팀장인 이민우 한림대성심병원 신경과 교수는 “이번 플랫폼 개발로 수준 높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며 “AI 기술을 통해 병원의 데이터를 표준화하고 고도화해 한림대의료원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AI병원의 선도적 모델을 제시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