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는 국내 유통·가공업체에 물김과 마른김이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기획재정부, 공정거래위원회 등 관계기관과 합동으로 5일부터 주 1회 현장점검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통계청이 이날 발표한 1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김은 지난해 같은 달보다 35.4% 올랐다. 김값 상승폭은 37년 2개월 만에 최대를 기록했다.
정부는 이날 전남 목포 지역을 시작으로 매주 전국 김 유통·가공업체의 마른김·조미김 생산 및 유통 현황을 점검할 계획이다. 또 유통·가공업계에 물김 수급 전망 등 정보를 제공해 적시 수매를 유도할 방침이다.
마른김 시장 가격 안정을 위해 현장의 애로사항도 듣는다. 해수부는 마른김의 원활한 유통을 위해 이날부터 김 부정유통 신고센터를 운영한다. 김을 생산·유통·가공·판매하는 과정에서 매점매석 행위 등 건전한 유통질서를 교란하는 행위를 확인하는 사람은 센터로 신고하면 된다.
한편, 해수부가 현장점검에 나선 이유는 김 가격이 치솟는 가운데 현지 물김 가격은 폭락하고 있기 때문이다. 마른김 가격은 고공행진하는 가운데 원료인 물김은 과잉 생산돼 가격이 급락했다. 지난해 전국에서 가장 많은 김을 위판한 전남 진도에서는 올해 1000톤이 넘는 물김이 경매에서 유찰돼 폐기됐다. 생물인 물김은 당일 경매로 넘기지 못하면 폐기할 수밖에 없다는 평가다.
강도형 해수부 장관은 “국민 밥상의 대표 반찬인 김의 가격 안정을 위해 관계기관과 함께 유통 및 가공 현장을 점검하겠다”며 “물김 업계의 자율적인 생산 조절을 유도하고 불법 양식을 단속하는 한편, 민간 수매자금 융자 사업도 신속히 추진하는 등 김 수급 안정화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