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kuk/image/2025/02/06/kuk20250206000104.500x.0.jpg)
관세청은 2023년 인천공항세관 마약 밀반입사건 경찰 수사 관련 최근 언론보도에 대해 6일 입장문을 내고 “지난 16개월 동안 압수수색 6회, 현장검증 5회, 소환조사 10회 등 경찰 조사에 적극 협조하고 있다”고 밝혔다.
관세청은 “당시 유입된 마약 상당량을 적발하지 못한 것에 대해 국민께 송구하다”며 “마약이 시중에 유통되기 전에 적발한 경찰 노고에 경의를 표한다”고 말했다.
이어 “국회 청문회에서 상세히 해명하고 수사팀 교체 후에도 압수수색 등 수사에 성실하게 임하며 진실이 밝혀지길 기대하고 있다”며 “장기간 지속되는 수사가 조속히 마무리되길 바라며 추가 수사가 있을 경우 적극 협조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관세청은 세관직원 연루설 등 계속되는 논란사항에 대해 반론을 제기했다.
관세청은 “마약조직이 운반책을 안심시키기 위해 ‘세관직원을 매수했다’는 거짓 정보를 제공해 믿게 하고, 운반책이 적발됐을 때 허위진술을 하는 사례가 국내외에서 빈번하다”며 “그러나 운반책 진술 외 추가 증거가 전혀 밝혀진 바 없이 논란만 지속돼 관세행정에 대한 국민 신뢰가 훼손되고, 누설된 마약단속 정보・단속기법 등이 역이용돼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사건 당일인 2023년 1월 27일은 코로나 펜데믹 시기로 공항 모든 직원이 마스크를 착용했는데, 8개월 후 혐의직원 5명을 지목한 것은 신빙성이 떨어진다”며 “운반책 진술은 혐의직원의 근무상황과도 일치하지 않는다”고 부연했다.
또 “직원이 세관 제복을 입고 운반책을 택시 승강장까지 안내했다는 진술도 해당 직원은 그 시간 입국장 밖으로 나간 기록이 없다”며 “운반책이 따라갔다고 진술한 공항 바닥 그린라인도 2023년 5월에 설치된 것”이라고 거듭 반박했다.
관세청은 “이 사건을 계기로 지방공항 우회반입 시도 은닉마약을 적발하는 등 성과를 거두고 있다”며 “지난해 하반기 주요 공항만 세관에 밀리미터파 신변검색기를 배치하고 입국과 동시에 마약검사를 실시하는 등 반입 차단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