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kuk/image/2025/02/07/kuk20250207000292.800x.0.jpg)
건강을 중시하는 ‘저속노화’ 트렌드가 인기를 끌면서 저속노화 간편식 출시도 늘고 있다. 유통가는 2030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저당·비건 등 건강 관련 제품들을 선보이며 소비자 확보에 열을 올리는 모습이다.
9일 업계에 따르면 저속노화 관련 간편식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다. 리테일 테크 기업 컬리는 최근 저속노화 푸드 상품군 매출이 급증했다고 밝혔다. 건강하고 활력 있는 노화를 추구하는 저속노화 생활방식이 자리잡으면서 관련 식품 소비도 증가했다는 설명이다. 컬리의 저속노화 푸드 중 하나인 잡곡과 샐러드, 이너뷰티 등의 지난해 연간 판매량은 전년 대비 두자릿 수 성장했다. 잡곡 상품군은 30% 이상 증가했고, 샐러드와 이너뷰티는 각각 10%, 11%씩 판매가 늘었다.
저속노화 푸드의 인기는 최근 3개월 사이 더 두드러졌다. 식단관리 도시락 브랜드 마이비밀의 ‘다이어트 도시락 8종’의 경우 지난해 12월 판매량이 같은해 9월 대비 130% 늘었다. 같은 기간 샐러드판다의 ‘병 샐러드 12종’과 이영애의 건강미식 ‘효소 30포 3종’은 각각 35%, 91% 증가했다. 컬리는 오는 14일까지 다이어트 추천 식단 기획전도 진행한다. 저당 도시락 및 간식을 비롯해 샐러드, 곤약밥, 프로틴 스택 등을 다양하게 준비했다.
편의점 업계도 저속노화 열풍에 발맞춰 나가고 있다. GS25는 올해 신선식품 전략 카테고리 중 하나로 ‘잡곡’을 선정했다. GS25는 최근 몇 년 새 편의점에서도 ‘잡곡’을 찾는 고객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GS25 전년대비 잡곡 매출 신장률은 △2022년 15.4% △2023년 23.8% △2024년 25.9% △2025년(1월) 60.7%로 꾸준히 상승했다. 특히 지난해 전체 양곡 중 잡곡 매출 비중이 15%를 돌파하는 성과도 거뒀다.
이에 GS25는 지난 6일 프리미엄 ‘오분도미’를 편의점 업계 최초로 론칭했다. 오분도미는 쌀의 겉껍질을 벗겨 50% 정도만 도정한 것으로 비타민, 미네랄, 황산화 물질 등 영양소가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data/kuk/image/2025/02/07/kuk20250207000291.549x732.0.jpg)
저속노화 열풍을 이끌고 있는 정희원 서울아산병원 교수와 협업에도 나섰다. 세븐일레븐은 지난 1월 정 교수와 함께 저속노화 간편식 시리즈 5종을 출시했다. 정 교수와 4개월간 제품 개발을 진행해 나트륨 함량을 일반 상품 대비 최대 50%까지 줄였다. 잡곡, 닭가슴살, 야채 등을 주재료로 구성했다.
대형마트도 저속노화 관련 상품전을 기획하고 있다. 이마트는 2월 ‘가격 파격 선언’ 상품으로 양배추, 오곡밥, 라면, 즉석밥 등을 선정했다. 양배추는 최근 확산되는 저속노화 트렌드의 핵심 식단으로 꼽힌다. 앞서 이마트의 지난 1월 양배추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0% 상승했다.
홈플러스는 오는 12일까지 건강한 식사를 제안하는 ‘M.E.A.L. 솔루션’의 일환으로 ‘돌돌말아 페스타’를 진행한다. 명절 이후 수요가 증가하는 월남쌈, 또띠아 등 건강한 다이어트 음식 식재료를 최대 50% 할인 판매한다.
업계에서는 코로나19 이후 간편식과 배달 음식이 보편화되면서 MZ세대 사이 간편한 건강식에 대한 관심이 커진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비만 등 젊은 층의 성인병 환자 수가 크게 늘고 있는 것도 건강식에 대한 수요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2023년 기준 20대 남성의 비만 유병률은 43.9%, 여성은 22.1%로 전년 대비 증가했다. 2023년 20대 이하 당뇨병 환자는 5년 전보다 33.1% 급증했다.
업계 관계자는 “2030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건강 관리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면서 저당·저염 식단 등 건강을 고려한 간편식 제품 수요가 높아지는 추세”라면서 ”이런 소비자들의 수요를 반영한 건강 지향적인 제품 출시와 서비스 개발이 중요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data/kuk/image/2023/02/08/kuk202302080166.500x.0.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