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kuk/image/2025/02/11/kuk20250211000391.800x.0.jpeg)
올해 설 연휴를 전후로 가공식품 가격 인상이 잇따르는 가운데 농림축산식품부는 식품업계에 물가안정 기조에 협조해달라고 11일 요청했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이날 서초구 한국식품산업협회에서 ‘식품업계 현안 해결을 위한 간담회’를 열고 식품기업 관계자들과 물가 등의 현안을 논의했다. 농식품부는 식품업계에 제조 혁신, 기술 개발 등 생산성 향상으로 가격 인상 요인을 최소화해, 정부의 물가안정 정책 기조에 동참해달라고 당부했다. 또 업계와 소통을 통해 애로 사항을 발굴하고 해소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식품기업의 원가 부담 경감을 위해 올해 코코아 생두, 커피 농축액 등 13개 수입 원료에 할당관세를 적용하고 있다. 또 수입 부가가치세 10% 면세 조치를 올해까지로 연장하기로 했고 밀, 코코아, 커피, 유지류 등 식품 원료 구입 자금으로 4500억원을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식품 원료 가격이 급등하는데다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원화 가치가 하락하며 수입 단가까지 뛰자 식품업계는 원가 부담을 호소하며 수익성 악화를 방어하기 위해 가격을 올리고 있다.
지난달 식품업체 중에서는 동아오츠카, 대상이 각각 제품 가격을 올렸고 외식업체로는 버거킹, 스타벅스 코리아, 할리스, 폴바셋이 메뉴 가격 인상을 단행했다. 이달에는 SPC파리바게뜨와 SPC삼립, 롯데웰푸드가 가격을 올린다. 빙그레도 다음 달 제품 가격 인상을 예고했다.
일각에서는 정국 혼란으로 정부의 물가 관리가 느슨해진 틈에 식품·외식기업이 잇따라 가격을 올리고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앞서 식품·외식업체들은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이 진행되던 2016∼2017년 당시에도 앞다퉈 가격을 올려 눈총을 받기도 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CJ제일제당 △SPC삼립 △남양유업 △농심 △동서식품 △동원F&B △대상 △롯데웰푸드 △롯데칠성 △매일유업 △빙그레 △삼양식품 △샘표식품 △오리온 △오뚜기 △일화 △풀무원식품 등 17개 식품기업의 대표와 임원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