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위아가 중동·아프리카 지역 최대 규모 방위산업 전시회에서 모빌리티 기반 화포체계를 선보였다.
현대위아는 17일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 국제 전시센터에서 개최하는 ‘IDEX 2025(International Defense Exhibition & Conference 2025)’에 참가했다.
이날부터 오는 21일(현지시간)까지 열리는 IDEX 2025는 중동 및 아프리카 지역에서 열리는 가장 큰 규모의 국제 방위산업 전시회로 현대위아가 참가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현대위아는 이번 전시회에서 기동형 화포체계를 목업(mock up‧전시용 모형) 형태로 대거 공개했다. 기동형 화포체계는 기존 제품의 무게를 낮추고 차량에 탑재해 기동성을 크게 높인 무기체계다. 소형전술차량에 탑재한 ‘경량화 105㎜ 자주포’가 대표적이다. 경량화 105㎜ 자주포는 국방신속획득기술연구원의 신속연구개발사업으로 개발한 체계로, 기존 자주포보다 긴 약 14㎞의 최대 사거리를 지닌다. 무게를 줄여 대형 기동 헬기를 활용한 공중 수송도 가능하다. 이 자주포는 오는 6월까지 군 시범운용을 통한 ‘군사적 활용성’ 평가를 거쳐 전력화 예정이다.
현대위아는 차량탑재형 81㎜ 박격포의 목업도 함께 선보였다. 박격포는 보병전에서 신속한 화력지원을 담당하는 대표적인 무기체계이다. 현대위아는 기존 81㎜ 박격포를 소형전술차량에 탑재해 신속한 지원을 가능하게 했다. 아울러 방열시간을 5분에서 10초로 대폭 줄였고, 운용 인원 또한 기존 5명에서 3명으로 감축했다. 차량을 사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기존 81㎜ 박격포와 동일하게 분리해 사용할 수 있다.
현대위아는 전술차량 기반의 미래형 무기체계 전시품도 공개했다. 차량탑재형 대 드론 통합방어 체계(ADS)는 라이더와 광학장치를 통해 드론을 탐지 및 식별하고 사격하는 무기체계다. 현대위아는 기존 ADS를 소형·중형 전술차량에 모두 탑재할 수 있게 개발해 어떤 상황에서도 드론을 탐지할 수 있도록 했다. 아울러 차량 내에서 사격할 수 있는 원격사격무기통제체계(RCWS)도 전시품과 홍보영상을 통해 선보였다.
현대위아는 이번 전시회를 시작으로 중동·아프리카 지역으로의 화포체계 수출을 확대한다는 목표다.
현대위아 관계자는 "이번 IDEX 2025를 통해 처음으로 중동 및 아프리카 지역에 현대위아의 기술력을 알릴 수 있다"며 "모빌리티 기반 화포체계의 지속적인 개발을 통해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경쟁력 있는 화포 전문 체계사로서 인정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동관 한화 부회장, UAE 방문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이 아랍에미리트(UAE)에서 방산, 우주, 해양, 에너지 등에서 폭 넓은 경제 협력 관계 구축에 나섰다.
김부회장은 17~21일 UAE 아부다비에서 열리는 방위산업 전시회인 ‘IDEX 2025’에 참석했다.

김 부회장은 이번 전시회에서 글로벌 방산 기업 관계자, UAE 정부 관계자 등과 만나 국방과학연구소(ADD)와 함께 개발한 장거리지대공유도무기체계(L-SAM) 등 ‘다층 방공방 솔루션’ 수출, ‘국산엔진 탑재 K9’의 중동시장 진출 확대, UGV(Unmanned Ground Vehicle) 등 무인체계 분야 기술 협력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또한 방산 분야를 넘어 발사체 및 위성 등 우주분야, 친환경 선박 및 에너지 등에 대한 폭넓은 협력 가능성에 대한 의견을 나눌 계획이다.
김동관 부회장은 "기존의 방산 분야 협력을 공고히 하면서 조선·해양, 우주, 에너지 등의 영역으로 협력을 확대해 양국 안보는 물론 현지의 경제발전에도 기여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NH농협은행 경남본부, 소상공인 등 1300억원 금융 지원
NH농협은행 경남본부(본부장 조청래)는 17일 경남신용보증재단(이사장 이효근)과 '2025년 NH농협은행 특별출연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출연금을 전달했다.
출연금 81억원은 약 1300억원의 추가자금을 지원할 수 있는 규모이다. 이로써 경남 내 영세 자영업자와 중소기업들의 자금난 해소에 도움이 될 예정이다.
지원대상은 경상남도 내 소재한 소기업·소상공인으로 최대 3억원 한도 이내에서 자금을 지원한다. 특히 보증비율 우대(90~95%)를 통해 담보력이 부족한 소상공인이 더욱 원활하게 금융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NH농협은행 경남본부는 1996년 경남신용보증재단 창립 이후 매년 꾸준히 출연을 진행해 왔으며 이번에 지원한 81억원은 지난해보다 21억원 증가한 역대 최고 금액으로 누적 출연 규모가 568억원에 달한다.
아울러 남해안 관광벨트 지역 소상공인에 대한 금융지원, 인구감소지역 내 기업을 대상으로 한 우대금리 지원 등 경남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사업을 통해 소상공인들에게 실질적인 금융 혜택을 제공해 왔다.
조청래 경남본부장은 "이번 특별출연은 올해 NH농협은행 경남본부의 소상공인들을 위한 지원 사업 중 첫 사업으로 앞으로도 지역상생 은행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지원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볼보그룹코리아, 지역 아동 주거환경 개선 ‘볼보 뉴홈 프로젝트 3호’ 개최
세계적인 굴착기 제조업체인 볼보그룹코리아(볼보건설기계코리아)가 아동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볼보 뉴홈 프로젝트(Volvo New Home Project) 3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볼보 뉴홈 프로젝트’는 지난 2022년부터 시작된 볼보그룹코리아의 대표적인 사회공헌 활동으로 볼보그룹코리아와 한국해비타트가 함께 아동 주거환경 개선을 통해 아동의 성장과 자립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번 ‘볼보 뉴홈 프로젝트 3호’를 통해서는 경기도 김포시에 위치한 아동보호시설 그룹홈 ‘소풍’을 비롯해, 볼보그룹코리아의 생산 공장이 위치한 경남 창원 지역 내 한부모 가정, 조손 가정, 장애 아동 가정 등 5곳의 주거환경 개선 공사를 성공적으로 진행했다.
볼보그룹코리아와 한국해비타트는 지자체와 협력해 아동 주거환경 개선이 필요한 가정을 선정하고, 대학생 봉사단 ‘볼보 뉴홈 빌더즈(Volvo New Home Builders)’를 조직해 실제 프로젝트 실행을 위한 봉사활동에 적극 참여했다. 개선 공사 외에도 겨울철을 맞아 동절기 키트를 제작해 설 연휴 전 각 가정에 전달하며, 프로젝트 전 과정에서 나눔의 가치를 실현했다.
볼보그룹코리아와 한국해비타트는 지난 10일, 경기도 김포시에 위치한 아동보호시설 그룹홈 ‘소풍’에서 ‘볼보 뉴홈 프로젝트 3호’ 성료를 기념하는 헌정식을 진행하며, 프로젝트 성과를 공유하고 아동의 성장과 자립 지원을 위한 주거환경 개선의 중요성을 되새겼다.

특히 이번 ‘볼보 뉴홈 프로젝트 3호’에는 볼보그룹코리아 대학생 봉사단 ‘볼보 뉴홈 빌더즈 1기’ 학생들이 참여해 그 의미를 더했다. 창원에 소재한 국립창원대와 경남대 학생 20명으로 구성된 ‘볼보 뉴홈 빌더즈’는 지난 7월부터 12월까지 총 6회에 걸쳐 주거환경 개선 지원 가정을 대상으로 이사 지원, 가구 조립, 벽화 그리기 등 다양한 봉사활동을 펼쳤다.
볼보그룹코리아는 ‘볼보 뉴홈 빌더즈 1기’ 수료식을 지난 14일 창원공장에서 개최했으며 이 자리에서 우수단원 시상 및 성과 발표 등의 시간을 가지며 대학생 봉사단의 성공적인 활동 마무리를 축하했다. 또한 봉사단 학생들에게 볼보의 혁신적인 기술이 담긴 제품과 스마트 제조 과정 등을 직접 확인해 볼 수 있는 공장 견학을 제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