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이 사회·윤리 규범상 중대한 문제인 ‘아동 범죄’에 공분하고 있다. 그러나 현행 형법은 일반범죄와 아동범죄 간 처벌 기준이 다르지 않아 문제점으로 지목되고 있다.
18일 정치권에 따르면 아동 관련 범죄는 학대를 포함해 그 종류가 다양해지고 있다. 아동학대는 신체·정서·성·방임 등으로 구분돼 있다. 아동 대상 범죄는 상해와 살해를 비롯해 온라인상에서 디지털성착취와 유해정보 노출 등 새로운 종류가 등장하고 있다.
교사가 교내에서 흉기로 초등학생을 피습한 ‘하늘이 사건’ 국민을 충격에 빠뜨렸다. 지난 10일 대전의 한 초등학교에서 김하늘양이 40대 교사에게 흉기로 공격받아 심정지 상태가 됐다. 김양은 발견 즉시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끝내 세상을 떠났다.
온라인에서도 아동 관련 범죄는 끊이지 않는 실정이다. ‘박사방’과 ‘N번방’을 시작으로 자경단 등 아동을 협박해 성폭행하거나 성 착취하는 범죄가 늘고 있다. 최근 검거된 ‘자경단’의 피해자는 234명으로 이 중 10대 피해자는 159명에 이른다. 박사방과 N번방의 피해자도 각각 73명, 48명이나 된다.
현행 형법은 아동범죄의 형량을 늘릴 수 없다. 정신·신체적으로 미성숙한 아동을 대상으로 한 범죄임에도 관련 조항이 없어 제대로 된 처벌을 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 같은 범죄는 일반범죄보다 죄질이 더 나쁘고, 악의성이 더 크다.
고동진 국민의힘 의원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형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발의했다. 이 개정안은 18세 이하 아동을 대상 범죄를 ‘가중처벌’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이를 통해 심각한 중범죄라는 경각심을 높이겠다는 방침이다.
법안의 세부내용을 살펴보면 제50조2항 ‘아동에 대한 죄 처벌의 가중’이라는 항목이 신설된다. 제50조2항은 18세 미만의 아동을 대상으로 죄를 범하면 형량과 벌금을 두 배까지 가중하도록 한다. 또 상습적인 범죄도 가중 형량·벌금에 두 배의 가중치를 부여하도록 했다.
해당 법안이 본회의 문턱을 넘으면 아동범죄를 저지르면 최대 두 배까지 형량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아동범죄 처벌에 관한 사각지대를 보완할 수 있게 된다.
고 의원은 이날 쿠키뉴스와 통화에서 “아동범죄에 대한 사회적 경각심을 높이고, 절대 용인될 수 없는 중범죄임을 인식하게 할 것”이라며 “대한민국 미래 세대의 건강한 성장과 사회의 안전을 철저히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우리나라도 아동범죄에 대해서는 형법의 포괄적 차원에서 ‘가중처벌’하는 법적 체계가 필요하다”고 소리 높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