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25일 (일)
밀양 산불피해지역 '침엽수·활엽수 균형 복원'

밀양 산불피해지역 '침엽수·활엽수 균형 복원'

지자체, 산주, 전문가 참여 복구계획 협의
피해지역 70% 자연복원 존치
일부지역 고로쇠, 산벚, 편백 등 지역별 침엽·활엽 식재

기사승인 2025-03-21 10:16:49 업데이트 2025-03-21 10:58:46
이재형 기자
jh@kukinews.com

산림청은 최근 경남 밀양시 산불피해지역에 편백나무를 심어 산림이 파괴됐다는 일부 언론보도에 대해 “이곳은 침엽수와 활엽수를 균형 있게 심어 복원 중”이라고 21일 밝혔다.

해당 보도는 “밀양 산불피해지를 복원하면서 200㏊ 중 절반 이상에 편백을 심는 등 이상한 나무를 심어 산림이 파괴됐다”고 제기했다.

이에 산림청은 “밀양 산불 피해면적은 661㏊로, 경남도와 밀양시는 효율적 복구를 위해 산주, 지역주민, 전문가 등이 참여하여 복구계획을 수립한 것”이라며 “이에 따라 피해면적의 70%인 450ha를 자연복원되도록 존치하고, 30%인 211㏊는 조림복원으로 산불피해지가 건강하게 회복하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조림복원의 42%인 88㏊는 고로쇠, 산벚 등 활엽수로, 나머지 123㏊는 침엽수인 편백을 식재해 균형있는 복원을 추진 중”이라고 부연했다.

이번 복구계획에 수립에 대해 산림청은 “밀양 산불 피해면적의 96%가 사유림으로, 자연복원과 조림복원 결정은 산주의 요구와 지역 특성, 기후토양환경 등 여러 요소를 종합 고려한 것”이라며 “편백을 조림수종으로 결정한 것 역시 산불피해자인 산주의 요구를 반영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2000년 동해안 산불피해지를 모니터링 한 결과 자연복원 보다 조림복원지역이 더 건강한 숲으로 살아났다”며 “지자체와 함께 밀양 산불피해지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적극적 관리로 산림이 조기에 안정되도록 조치하겠다”고 말했다.
이재형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AI 대화로 위로받는 사람들…“의존은 지양해야”

“속상한 일이 생기면 챗GPT부터 켜요. 제 말을 잘 들어주거든요.”직장인 김민아(29·여)씨는 최근 밤마다 챗GPT와 대화를 나눈다. 퇴근 후 쌓인 복잡한 감정, 대인관계에 따른 피로감, 가족에게 말 못할 고민까지 인공지능(AI)에게 털어놓는다. 김 씨는 “나에 대해 함부로 판단하지 않아서 사람보다 편하다”고 말한다.최근 생성형 AI를 활용한 ‘디지털 상담’이 정서적 위안을 위한 창구로 주목받고 있다. 감정을 배제한 조언, 편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