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준공 후 분양이 되지 않는 ‘악성미분양’이 19개월 연속 증가하고 있다. 지방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1만9179가구에 달했다.
1일 국토교통부의 ‘2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2월 말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총 7만61가구다. 1월 대비 3.5%(2563가구) 감소했다. 지역별로 수도권 미분양 주택은 1만7600가구, 지방은 5만2461가구다.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023년 8월 이후 19개월 연속 증가 추세다. 2월 말 전국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만3722가구로 2013년 9월(2만4667가구) 이후 가장 많은 수준이다.
2월 말 기준 수도권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4543가구로 1월 대비 2.2%(97가구) 증가했다. 지방은 1만9179가구로 4.1%(753가구) 늘었다.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이 가장 많이 증가한 지역은 2월 말 기준 경상남도다. 경남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459가구로 1월 대비 427가구 증가했다. 경상북도가 그 뒤를 이었다. 경북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502가구로 1월 대비 288가구 늘었다.
85㎡(25.7평) 초과 미분양은 1만684호로 지난 1월 대비 1.8% 감소했다. 85㎡ 이하는 5만9377호로 1월 대비 3.8% 줄었다.
반면 주택 매매거래량은 5만698건으로 1월 대비 32.3% 증가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6.6% 늘었다. 수도권 매매거래는 2만4026건으로 1월 대비 34.6% 증가했다. 그중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는 4743건 이뤄졌다. 봄 이사철 수요 증가, 금리 인하 기대감, 토지거래허가구역 일시 해제 등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됐다.
부동산 업계는 악성미분양을 해결하려면 정부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윤지해 부동산 114 수석연구원은 “준공 후 미분양은 건설사에게 큰 부담”이라며 “건설과 관련된 중개사무소, 이사 업체, 인테리어 업체 등도 같이 침체될 수 있어 위험하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의 세제 혜택이 필요하다”며 “세금 우대나 대출 우대 같은 정책을 펼쳐 악성미분양을 해소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