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4일 (금)
낙동강생물자원관, 당단풍나무에서 비만 치료 물질 발견 

낙동강생물자원관, 당단풍나무에서 비만 치료 물질 발견 

기사승인 2025-04-01 14:29:11
당단풍나무
김태구 기자
ktae9@kukinews.com

우리나라 전역에서 자생하는 당단풍나무에서 비만을 치료할 수 있는 물질이 발견됐다.

환경부 산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당단풍나무 추출물에서 식욕억제 효능을 확인했다고 밝혔다고 1일 밝혔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2023년부터 수행하고 있는 ‘담수생물자원 추출물 유래 기능성 플라보노이드 탐색 연구’를 통해 당단풍나무 추출물에 항비만 물질로 알려진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퀘르세틴(Quercetin) 성분이 상당히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진은 당단풍나무 추출물을 뇌 시상하부 신경세포에 처리했을 때 식욕촉진 유전자 발현을 60% 이상 억제하는 반면, 식욕억제 유전자 발현을 40% 이상 높이는 것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당단풍나무 추출물이 식욕억제에 효능이 있음을 증명했다.

아울러 당단풍나무 추출물이 함유한 식욕억제 유효성분이 이소퀘르시트린과 구아이아베린임을 확인했다. 이 유효성분은 대표적인 비만치료제의 주성분 리라글루타이드(Liraglutide)와 동등한 효능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진은 해당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올해(2025년) 3월 말에 특허 출원했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강태훈 이용기술개발실장은 “자생 식물자원을 활용한 천연 비만치료제의 개발 가능성을 보여준다”며 “추가 연구를 통해 항비만용 천연물 제제 개발에 박차를 가하겠다”라고 밝혔다.

세종=김태구 기자
김태구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고요한 관저…‘자연인 윤석열’‚ 서초 사저로 간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이 결정된 가운데 한남동 대통령 관저는 무거운 정적에 휩싸였다.헌법재판소는 4일 윤 전 대통령 탄핵심판에서 파면 결정을 선고했다. 앞서 윤 전 대통령 변호인단은 "질서 유지와 경호 문제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윤 대통령은 헌재에 출석하지 않는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윤 전 대통령은 헌재의 탄핵심판 선고를 관저에서 TV로 지켜본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실은 아직 파면에 대해 공식 입장을 내지 않고 있다. 윤 전 대통령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