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또한, 2018년 4020억원에 달하던 부채는 2023년 1512억원으로 크게 줄어 2508억원이 감소했다. 따라서, 2023년 진주시 순자산 규모는 2018년과 비교해 1조 1481억원(총자산 증가분 8973억원+부채 감소분 2508억원)이 증가했다.
진주시 자산 증가 내역을 살펴보면 진주시정이 시민 행복을 위해 얼마나 노력을 기울여 왔는지를 가늠할 수 있다. 즉, 시민들의 생활 여건 개선과 서부경남 중심 도시다운 외형을 갖추기 위해 공원, 도로, 도서관, 전시관, 복지시설, 체육시설, 주차시설 등 다양한 인프라를 조성한 결과로 평가된다.
민선 7기 출범 이래 조성해 온 인프라는 대표적으로 경제분야에서는 상평산단 혁신지원센터를 포함한 창업지원시설과 진주 K-기업가정신센터, 문화관광분야에서는 소망진산 유등공원, 남강유등전시관, 철도문화공원, 월아산 숲속의 진주와 진양호 우드랜드, 꿈키움동산 다이내믹광장, 하모놀이숲, 아천북카페, 물빛갤러리, 노을전망 데크로드 등을 조성한 진양호 공원을 들 수 있다.

농업 분야에서는 중부·남부·동부 농기계임대사업소, 두메실 농업테마파크, 먹거리통합지원센터와 농산물종합가공센터 등이 조성됐다. 복지시설로는 홍락원, 장애인 문화체육센터, 파크골프장 등이 있고, 올해 안락공원 현대화사업도 마무리 짓는다. 또한, 주차난 해결을 위해 각종 주차시설을 확충하고 남강둔치를 비롯한 시 전역 자전거도로를 개설해 진주시민의 후생도 단단히 챙겼다는 계획이다.
그 결과 지난 2022년 3월 개관한 진주 K-기업가 정신센터에는 18만 명(누적)이 방문했고, 글램핑장 등 자연휴양시설과 산림레포츠시설을 갖춘 월아산 숲속의 진주에는 2024년에 35만 명이 찾아 즐기고 갔다. 이같은 수치로 진주시민뿐만 아니라 전국 각지에서 진주를 찾아온 관광객도 많았음을 가늠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인프라 조성은 진주시가 정부 공모에 적극 참여해 국·도비를 많이 확보했고 민선 7기 이래 7년 동안 314건(3765억원)이 선정돼 진주시가 시민 행복 인프라 확충을 위한 재원을 획기적으로 확보하게 됐다.

지난 1999년 헌법재판소 판결에 따라 2020년 7월부터 20년이 지나도록 도시계획 시설 지정만 해놓고, 집행계획을 수립하지 않은 시설들이 실효되기 시작했다. 쉽게 말해, 해당 부지 소유자가 재산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됐다.
해를 거듭할수록 지가가 상승하고, 그에 따라 보상비용도 증가하는 반면, 부지 대부분이 시민들이 자주 이용하는 산책로와 도로이기 때문에 전국의 지자체는 비상이 걸렸다. 1999년에 결정이 났지만, 진주시는 실효를 불과 2년 앞둔 2018년 7월 조규일 시장 취임 후에야 본격적인 대책 마련에 나서게 됐다.
문제는 예산 즉, 돈이다. 시민들의 일상과 밀접한 공원 및 도로 부지 매입에 약 8500억 여원이 필요했다. 우선, 민선 6기에서 넘어온 일반회계 순세계 잉여금 4600억 여원의 상당 부분이 장기 미집행 부지 매입에 투입됐고, 추가로 예산을 투입해 현재까지 6600억 여원이 장기 미집행 도시계획시설 일몰제 대응에 쓰였다. 진주시는 향후 약 1800억 여원을 연차적으로 확보해 장기 미집행 도시계획시설을 완전히 해소한다는 방침이다.
진주시는 일차적으로 가좌산, 망진산, 선학산, 비봉산, 진양호공원의 산책로 부터 확보했다. 시민들이 주로 다니는 길에 '사유지, 출입금지, 주인 백'이란 푯말이 걸리기 전에 미리 방지했다. 거기에 그치지 않고, 소망진산에는 유등을 테마로, 망경공원은 비거를 테마로 한 공원을 조성하고, 진양호공원은 관광객이 다시 찾을 수 있도록 르네상스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옛 진주역 사거리 광장은 교통광장 지정 이후 54년 만인 2022년 3월 시민들의 품으로 돌아왔고, 말티고개-장재 간, 명석-집현 간, 경상대-내동 간, 초전-대곡 간, 10호광장 주변-평거주공A 간, 10호광장 동편-여중 오거리 간 등 도로망을 대폭 확충해 도심 정체 구간을 말끔히 해소했다.

덧붙여 "진주시는 해마다 결산 결과 발생한 순세계 잉여금에 대해서도 단지 은행 계좌에만 비축하기보다는 재정운용계획을 꼼꼼히 잘 세워서 적절한 시점에 시민 행복 증진과 도시발전의 밑거름으로 적극 활용한다는 것이 조규일 시장과 진주시의 확고한 기조"라고 강조했다.
진주=강연만 기자 kk77@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