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보듬 돌봄’ 유아 거점형 돌봄기관 3곳 선정 [충남에듀있슈]

‘다보듬 돌봄’ 유아 거점형 돌봄기관 3곳 선정 [충남에듀있슈]

융합독서낭독극 운영 학교 담담교사 배움자리
‘생명 나눔 실천’ 충남교육청 올 두번째 헌혈

기사승인 2025-04-10 16:27:54
충남교육청, 보육기관 부재·원거리 통학 지역 해소 기대 

충남교육청은 10일 ‘다보듬 돌봄’ 유아 거점형 돌봄 3개 기관을 선정했다. 사진은 유아들이 거점형 돌봄기관에서 교육활동을 하고 있는 모습.

충남교육청은 10일 ‘다보듬 돌봄’ 유아 거점형 돌봄 3개 기관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다보듬 돌봄’거점형 돌봄 시범 사업은 유보통합 추진에 따라 아침저녁 출퇴근 시간대 및 토요일(휴일)⋅방학 중 돌봄이 필요한 유아들에게 안전한 돌봄 환경을 제공하고 학부모의 돌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추진되고 있다. 

이번에 선정된 유치원은 돌봄 취약 지역 등에 거점기관과 협력기관이 함께 맞춤형 돌봄(아침⋅저녁⋅방학)을 운영하게 되며, 선정된 어린이집은 소규모 기관 밀집 지역 등에 거점기관과 협력기관이 함께 토요 돌봄을 운영하며 돌봄 공백을 줄이게 된다.  

거점형 돌봄기관 지정․운영을 통해 △돌봄 취약 지역에 돌봄 기관 확대 △지역 여건과 수요에 맞는 돌봄 운영 모델 발굴 △교육·보육기관 부재 또는 원거리 통학 지역 해소 등을 기대하고 있다. 또한, 질높은 돌봄 운영을 위해‘거점형 돌봄 지원단’구성하여 현장 정보나눔자리와 회계 모니터링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김지철 교육감은 “모든 아동이 양질의 돌봄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우선이다. 또한 지역사회와 협력하여 교육의 질을 높이고 유아들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강조했다.
 

융합독서낭독극 운영 학교 담담교사 배움자리 

충남교육청 전경.

충남교육청은 10일 공주 환경성 건강센터에서 역량강화 배움자리를 운영했다.

앞서 교육청은 배움과 삶을 잇는 문해력 신장을 위한 독서인문교육의 하나로 ‘2025 융합독서낭독극 운영교’ 51곳을 선정한바 있다.

융합독서 낭독극은 글을 ‘읽고’ 내용을 ‘들려주는’ 낭독과 ‘보여주는’연극이 결합한 형태로, 작품을 읽고 대본을 만들고 극으로 실연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다중 문해력과 학습자 주도성을 키울 수 있다.

이날 배움자리에서는 융합독서낭독극에 관심 있는 교원 40여 명도 더해 80여 명의 교원이 학생 참여형 수업방법 공유, 기초문해력 향상과 인문소양함양 교육 확대의 자리로 진행됐다. 

실제 학생을 지도하는 교사들이 만들어낸 작품 ‘야, 춘기야’로 문을 연 이번 배움자리는 실제 교육과정, 교실 수업과 연결할 수 있는 다양한 운영 방법을 공유할 수 있는 자리였다. 

또한 중학교 수업 사례와 함께 초등학교, 고등학교의 수업사례도 함께 공유하여 학교급에 맞는 맞춤형 교실 수업으로 연결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  

김지철 교육감은 “독서는 삶의 지평을 넓힐 수 있는 가장 쉽고도 가장 행복한 방법”이라며 교사 주도성 발현으로 교육과정 속에서 융합독서 낭독극을 경험한 학생들이 학습자 주도성을 키우는 선순환을 통해, 함께 읽고 함께 행복한 충남 독서인문교육이 확산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생명 나눔 실천’ 충남교육청 올 두번째 헌혈 

충남교육청은 10일 청사 현관 앞에서 대전·세종·충남혈액원의 헌혈 버스를 지원받아 ‘제2차 헌혈 행사’를 실시했다. 

충남교육청은 10일 청사 현관 앞에서 대전·세종·충남혈액원의 헌혈 버스를 지원받아 ‘제2차 헌혈 행사’를 실시했다. 

이번 행사는 지난 1월에 이어 올해 두 번째로 진행된 것으로, 혈액 수급 안정화에 기여하고자 직원들의 자발적인 참여 속에 이뤄졌다. 특히, 연초 첫 헌혈 행사 이후 생명 나눔의 의미에 공감한 직원들의 관심이 높아지며, 이번 행사에는 더 많은 참여가 이어졌다. 

김지철 교육감은 “작은 실천이 생명을 살리는 큰 힘이 된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느낄 수 있는 자리였다”라며, “앞으로도 헌혈 문화를 확산하고, 더불어 사는 공동체 정신을 실천하는 데 앞장서겠다”라고 말했다. 

충남교육청은 연중 정기적인 헌혈 행사 추진과 함께 헌혈에 대한 인식 제고를 위한 다양한 홍보 활동과 캠페인을 지속적으로 전개해 나갈 계획이다.

홍석원 기자
001hong@kukinews.com
홍석원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