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도체‧자동차 등 호조에 힘입어 4월 초순 수출이 두 자릿수 증가세로 출발했다.
11일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1~20일 수출은 186억 달러로 전년 동기보다 13.7% 증가했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액은 21억9000만 달러로 0.3% 늘었다. 이달 1∼10일 조업일수는 8.5일로 지난해 같은 기간(7.5일)보다 1일 많다.
월간 수출액은 지난달까지 두달간 증가 흐름을 이어왔다. 다만 올해 1월에는 설 연휴 등 영향으로 감소하며 15개월 연속 증가세가 잠시 멈췄다.
이달 1∼10일 수출을 품목별로 보면 반도체(32.0%), 승용차(11.9%), 자동차 부품(10.5%) 등이 증가했으나 석유제품(-3.9%), 컴퓨터 주변기기(-14.1%) 등 수출액은 감소했다. 반도체 수출 비중은 2.5%p 상승한 18.3%다.
국가별로는 중국(8.8%), 유럽연합(EU·30.6%), 베트남(14.3%), 일본(0.7%) 등으로 수출은 늘었고 미국(-0.6%) 등은 줄었다. 중국·미국·EU 등 상위 3개 지역 수출 비중은 49.5%였다.
1∼10일 수입액은 197억 달러로 6.5% 늘었다. 품목별로는 원유(10.2%), 반도체(15.5%), 기계류(10.3%) 등에서 증가했고 가스(-19.1%), 석유제품(-7.3%) 등은 감소했다. 국가별로는 중국(4.7%), 미국(2.3%), 일본(15.1%), 호주(19.9%) 등에서 수입이 늘었고 EU(-18.7%) 등은 줄었다.
수입액이 수출액을 웃돌면서 무역수지는 11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이달부터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본격화 되며 한국 수출도 점차 영향권에 들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중국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에 상호관세를 90일 유예하고 10% 기본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다. 미국의 상호관세 보복 대응에 나선 중국에 부과한 합계 관세율은 125%이다.
다만 미 CNBC와 CNN 등은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에 부과한 합계 관세율이 145%라고 백악관이 확인해줬다고 전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월 미국으로 유입되는 중국산 펜타닐(좀비마약) 원료를 문제 삼아 중국에 20%(10%+10%)의 관세를 부과했다. 이에 따라 중국에 부과된 합계 관세율은 145%가 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