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이버가 ‘소버린 AI’의 중요성을 지속적으로 강조하는 가운데 자사 생성형 인공지능(AI) ‘하이퍼클로바 X’의 상업용 무료 오픈소스를 24일 공개한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서울 강남구 네이버스퀘어 역삼점에서 ‘네이버클라우드 테크밋업’을 23일 열었다. 네이버의 생성형 인공지능(AI) ‘하이퍼클로바 X’가 24일 국내 기업 중 처음으로 상업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무료 오픈소스를 24일 공개한다고 이날 밝혔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미국과 중국의 기술 패권이 치열해질수록 AI의 중요성은 커질 것”이라며 “AI는 국가나 사회를 운영하는 가장 기본적인 인프라가 되고 있다”고 말하며 소버린 AI를 강조했다.
네이버는 자체 생성형 AI 하이퍼클로바 X를 기반으로 한 소버린 AI 의지를 이어가고 있다. 소버린 AI는 각 나라마다 언어와 문화적 특성 등 자체 인프라와 데이터를 활용해 독립적인 AI 역량을 구축해야한다는 전략이다. 네이버 이사회 의장에 복귀한 이해진 창업자도 지난달 주주총회 후 기자들을 만나 “전 세계에서 한 두 개의 AI만 사용하는 것은 굉장히 슬픈 일”이라고 언급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경량 모델 3종 △하이퍼클로바 X SEED 3B △하이퍼클로바 X SEED 1.5B △하이퍼클로바 X SEED 0.5B의 개발을 완료하고, 오픈소스로 공개한다. 이번에 공개된 오픈소스 모델 하이퍼클로바 X SEED는 상업 목적으로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비용 부담이나 라이선스 제한 등의 문제로 생성형 AI 도입을 망설였던 중‧소규모 비즈니스를 중심으로 국내 AI 생태계가 활성활 될 것으로 보인다.

소버린 AI를 위해 단일 기업의 노력만으로는 달성하기 어려운 과제이기에 국가적 차원의 총체적 역량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성낙호 네이버클라우드 총괄은 “경쟁사인 빅테크만큼 AI를 가지고 있지 않은 이유는 기술력이 아닌 투자문제”라며 “한국의 AI 관련 경제 규모가 작기 때문에 나올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만약 정부에서 이벤트(투자)를 만든다면 1분기 내에도 나올 수 있다. 중국 딥시크 사례를 보면 알 수 있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미국에서 글로벌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사(CSP)의 국내 공공 클라우드 시장 진출에 걸림돌이라 주장하는 보안인증(CSAP)에 대해 “글로벌 CSP들이 국내 CSAP를 맞춰야 하는 것”이라며 “국내 규정은 정체성, 보안 등 특별한 사항이 아님에도 기준을 내리라고 하는 것은 도를 넘는 제국주의적 행동”이라고 지적했다.
또 소버린 AI에 대해 “소버린 AI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기업의 확실한 의지가 필요하고, 글로벌 밸류체인의 협조나 플랫폼 그리고 네이버와 같은 조력자 등이 있어야 한다”며 “다만 소버린 AI는 외국의 기술에 한국산이란 상표만 붙이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날 네이버클라우드는 하이퍼클로바X의 플래그십 모델을 기반으로 개발 중인 추론 모델을 상반기 중 선보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하이퍼클로바X 음성 모델을 활용한 서비스도 하반기 공개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