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10명 중 6명 ‘일반의’ 재취업…절반 이상 ‘동네 의원’ 근무

전공의 10명 중 6명 ‘일반의’ 재취업…절반 이상 ‘동네 의원’ 근무

수도권 의료기관에 54% 재취업
“尹 정부, 왜 전공의에 특혜 베푸나”

기사승인 2025-05-26 15:05:41
서울의 한 상급종합병원 의료진이 로비에 걸린 병원 홍보물 옆으로 이동하고 있다. 곽경근 대기자

최근 사직 전공의 추가 모집이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수련병원을 떠난 전공의 10명 중 6명은 동네 의원급 병원에 일반의로 재취업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선민 조국혁신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사직 또는 임용을 포기한 레지던트 8791명 중 5399명(61.4%)이 의료기관에 일반의로 재취업했다. 일반의는 의과대학을 졸업한 후 의사국가고시에 합격했지만, 전공의 수련 과정을 밟지 않고 의대 졸업 직후 활동하는 의사를 말한다.

5399명의 병원별 재취업 현황을 보면, 의원급 의료기관 재취업 전공의가 3258명으로 전체의 60.3%였다. 이어 병원 1312명(24.3%), 종합병원 712명(13.2%), 상급종합병원 117명(2.2%) 순이었다.

레지던트 5399명이 재취업한 지역을 보면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이 1149명으로 전체의 53.7%를 차지했다. 의원급 재취업자 3258명 중 68.2%에 달하는 2221명은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에서 근무했다.

김선민 의원은 “사직한 전공의의 61%가 이미 병·의원에 취업해 있고 이 중 68%는 위급한 중증 환자가 주로 오는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이 아닌 의원급 의료기관에 취업해 있는 상황”이라며 “윤석열 정부는 왜 전공의를 추가 모집하며 이들을 위한 특혜를 베풀어야 하는가. 대선 이후 이 부분에 대한 감사를 함께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20일부터 이뤄진 전공의 추가 모집은 이달 말까지 모집 병원별로 자율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모집 합격자는 다음 달 1일부터 수련을 시작하며, 이듬해 5월31일까지 수련을 마치면 정상 수련으로 인정한다. 3~4년차 전공의가 복귀할 경우 다음 달 1일부터 수련을 개시하면 내년 2월 전문의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다만 3월 복귀자와 마찬가지로 수련 기간 단축은 적용되지 않는다. 서울 ‘빅5 병원’의 경우 서울아산·세브란스·삼성서울·서울성모병원은 27일 오후 5시, 서울대병원은 27일 오후 6시 원서 접수를 마감한다.
신대현 기자
sdh3698@kukinews.com
신대현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