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증시의 사상 최고치 경신 랠리에도 강한 조정 국면에 접어들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고평가 부담 가중과 함께 상호관세 리스크에 대한 낙관론이 팽배한 여파다.
22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따르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지난해말 5881.63에서 18일(이하 현지시간) 종가 기준 6296.79로 7.06% 뛰었다. 나스닥종합지수도 1만9310.79에서 2만895.66으로 8.20% 상승했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4만2544.22에서 4만4342.19로 4.22% 올랐다.
특히 S&P500지수와 나스닥종합지수는 지난주 사상 최고가 경신 랠리를 보였다. S&P500 지수는 지난 17일 6297.26에 거래를 마쳐 올해 들어 아홉 번째로 최고가를 다시 썼다. 나스닥종합지수는 지난 14일부터 5거래일 연속 상승장을 이어가면서 18일 2만895.66으로 올해만 10번째 최고가를 경신했다.
이는 미국 기업들이 전반적으로 호실적을 발표한 영향이 크게 작용했다. 시장조사업체 팩트셋의 집계치를 보면 지난주 들어 실적을 발표한 S&P500 구성 종목 약 50개 중 88%가 예상치를 상회했다.
아울러 지난달 미국의 소비 심리가 되살아난 영향도 주요했다. 미 상무부에 따르면 6월 미국의 계절 조정 기준 소매 판매는 7201억달러를 기록해 전월 대비 0.6% 증가했다. 지난 5월 소매 판매가 전월 대비 0.9% 급감한 것과 비교하면 강하게 반등한 셈이다.
그러나 투자업계는 미 증시의 조정 국면을 우려하고 있다. 우선 미 증시가 역사적 고점에 도달했다는 점이다. 현재 S&P500의 주가수익비율(PER)은 약 23배에 달한다. 같은 기준 미 증시 시가총액 상위 10개 기업의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PER)은 30배에 육박한다. 이는 지난 2000년 IT 버블 정점 당시 기록한 약 25배를 뛰어넘은 수준이다. PER은 주가를 주당 순이익(EPS)로 나눈 수치로 기업 이익 대비 주가 수준을 나타내는 밸류에이션 지표다. 통상 PER이 20배를 초과하면 고평가로 평가된다.
특히 트럼프발 상호관세 리스크를 시장이 과소평가한다는 진단도 나온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전 세계 주요국을 대상으로 한 상호관세 시행을 오는 8월1일 이후로 유예한 상태다. 그러나 기본관세율 10%를 비롯해 철강, 자동차 등 품목별 관세는 이미 시행 중이다.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은 20일 미 CBS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8월1일은 엄격한 마감일”이라며 “기본 관세 10%는 확실히 유지될 것이다. 많은 국가는 더 높은 관세율을 적용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영곤 토스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쿠키뉴스에 “기본적으로 관세에 대해 낙관론이 많이 퍼져 있는 부분들이 있다”라며 “이는 트럼프가 쉽게 관세를 부과하지 못할 것이라는 생각들에 기인한다. 관세가 현실화될 경우 시장에 충격이 따라올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다만 조정 충격은 상호관세 리스크가 촉발된 시점인 지난 4월보다 강력하진 않을 것으로 관측된다. 이 센터장은 “상반기만큼 급격한 충격으로 다가오진 않을 것이다”라며 “또 미 증시 충격으로 인한 반사 수혜가 한국 등 기타 이머징 시장으로 확산될 여지도 높지 않다. 미국에서 조정받고, 타 국가로 자금이 흘러들어가는 것보다는 안전자산으로 움직일 가능성이 더 크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투자 포트폴리오에서 주식 비중이 지나치게 높거나, 레버리지에 대해 공격적인 투자를 하고 있다면 일부 현금 비중을 확보하면서 포트폴리오를 안정적으로 다변화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