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공의 복귀 방안 등을 논의하기 위한 수련협의체가 25일 첫발을 뗐다. 정부는 “국민 눈높이에서 의견을 수렴하겠다”고 밝혔다. 의료계는 “모든 가능성을 열어 놓고 건설적 논의를 하겠다”고 화답했다.
보건복지부와 의료계가 함께 참여하는 수련협의체가 이날 오전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에서 제1차 회의를 열고 전공의 현안과 관련한 논의를 시작했다. 이날 복지부에선 이형훈 제2차관과 담당 국·과장이 참석했다. 의료계에선 유희철 수련환경평가위원장, 김원섭 대한수련병원협의회장, 박중신 대한의학회 부회장, 한성존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장, 김동건 대전협 비대위원이 자리했다.
이 차관은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국민 눈높이에 맞는 전공의 복귀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소통하고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질병의 진단과 치료는 의사와 의료인, 보건의료 법과 제도는 국회와 정부 그리고 국민이 중심”이라며 “복지부는 법과 제도 관련 의견을 국민 눈높이에서 경청하고 수용하겠다”고 강조했다.
한 비대위원장은 “대전협 대의원총회를 연지 일주일도 되지 않아 조속히 실질적 대화의 장을 마련해 주셔서 정말 다행이라고 생각한다”며 대화를 통해 문제를 풀어가겠다고 했다. 그는 “현장 목소리를 반영할 수 있는 구조가 만들어지길 바란다”면서 “갈등과 대립이 아닌 소통과 화합의 장에 나와 있다고 생각한다. 모든 가능성을 열어 놓고 건설적 논의가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수련협의체는 복귀를 앞둔 사직 전공의들의 수련 연속성 보장과 수련환경 개선 등을 논의하기 위해 꾸려진 의정 협의체다. 앞서 대전협 비대위는 지난 19일 △윤석열 정부의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재검토를 위한 현장 전문가 중심 협의체 구성 △전공의 수련 환경 개선및 수련 연속성 보장 △의료사고에 대한 법적 부담 완화를 위한 논의기구 설치 등 대정부 3대 요구안을 의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