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지원책은 중소기업 운전자금 이차보전 우대지원, 공공폐수처리시설 요금 감면, 소규모 복구비 지원, 지방세 징수·세무조사 유예 조치로 구성된다.
이번 사고로 34개 기업이 직접적 피해를 입었으며, 그 중 다수 업체가 생산 중단, 납품 지연 등으로 존폐 위기에 직면했다. 실제 피해 규모는 1000억원을 넘어서는 것으로 추정된다.
피해 기업들은 “지금 필요한 건 신속한 복구비 집행과 대체 생산시설 마련”이라며 장기적인 생산 차질을 우려하고 있다.
영천시는 피해 기업들의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겠다는 계획 하에, 운전자금 이차보전 지원사업 우대업체 지정 기간을 기존 1년에서 3년으로 확대하고, 최대 6억원 한도로 연 5%까지 이차보전을 제공한다. 타 기관 금융지원사업과의 중복 지원도 허용, 신속한 자금 조달을 돕고 있다.
피해기업 공공폐수처리시설 요금은 2개월간 50% 감면되며, 소규모 피해기업에는 최대 100만원의 복구비가 지급된다.
지방세 부담 완화를 위해 지방세 징수와 세무조사 유예도 신청 방식으로 실시된다.
이번 지원은 본관 3층 기업유치과에 설치된 전담 창구에서 일괄 상담 및 접수되며, 중소벤처기업부와 경북도와 긴밀히 협력해 ‘재해 중소기업확인증’ 신속 발급도 지원 중이다.
영천시는 이번 사고를 ‘지역 경제 전반을 흔든 재난’으로 규정하고 정부에 ‘특별재난지역’ 선포와 ‘중소기업특별지원지역’ 지정을 건의했다.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되면 복구비 상당 부분을 국·도비로 충당할 수 있어, 실질적 재정부담 경감이 기대된다.
실제로 지난달 경북 청도군이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됐을 때, 복구비의 89%가 국·도비로 지원됐다.
한편 지난 3일 낮 12시42분쯤 과산화수소 영천시 금호읍 구암리의 채신공단 내 화장품 원료 제조공장에서 대규모 폭발과 화재가 발생, 1명이 숨지고 3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이 불은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공장 2층에서 강력한 폭발과 함께 발생했으며, 은 연기와 순식간에 불길이 커졌다.
소방 당국은 신고 16분 만에 소방서 전체 인력을 동원하는 ‘대응 1단계’가 발령하고 화재 발생 9시간11분 만인 오후 9시53분 불을 완전히 껐다.
영천=최태욱 기자 tasigi72@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