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도는 지역경제 활성화와 초대형 산불 피해지역 재건 사업 추진을 위해 1조 7226억원 규모의 제3회 추가경정 예산안을 편성해 도의회에 제출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추경 예산안은 도민의 삶과 직결되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역사랑상품권 △2025 APEC 정상회의 △산불피해 복구와 재창조에 중점을 두고 편성했다.
먼저 경기침체로 위축된 지역 소비를 살리고, 골목상권과 소상공인 등 지역경제 전반의 활력을 되찾기 위해 긴급 민생 회복 예산 7912억원을 투입한다.
이 가운데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업에 7259억원, 지역사랑상품권 발행에 653억원 을 편성해 소비 확대와 소상공인 매출 증대를 유도할 계획이다.
이로써 올해 지원되는 경북도 지역사랑상품권 사업은 시군비를 포함 총 1조 3000억원으로 확대되며, 소비 촉진은 물론 소상공인의 경영안정과 고용 유지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차순애 예산담당관실장은 “경기침체와 세입 여건 악화 속에서 이번 추경예산 편성을 위해 불요불급한 사업과 성과가 미흡하거나 집행 실적이 저조한 사업은 과감히 감액하고, 유사·중복 사업은 통합 조정하는 등 강력한 세출 구조조정을 추진 했다”면서 “이번 추경은 정부의 소비진작 정책과 연계해 단기 회복을 넘어 지역 경제·안전 기반을 강화하는 미래지향적 투자의 기반으로 삼을 것”이라고 말했다.
차 실장은 그러면서 “이를 통해 지역 안에서 돈이 돌고, 일자리와 매출이 함께 증가하는 도민 체감도가 높은 민생 회복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경북도는 이와 함께 초대형산불 피해지역의 안정적인 피해복구와 재건 사업 추진을 위해 8850억원의 예산을 편성했다.
앞서 경북도는 재창조 수준의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해 지난 7월 조직 개편을 통해‘산림재난혁신사업단’과 ‘마을주택재창조사업단’을 신설하고 재생 사업에 총력을 쏟고 있다
이번 추경에서 도로·상하수도·폐기물처리 등 기반 시설과 생활·안전 인프라의 정상화를 위해 7217억원을 편성했다.
또 위험목제거, 산사태 예방, 산불대응센터 설립 등 예방·대응 역량강화에 1338억원을 투입해 재난에 강한 안전경북을 실현할 계획이다.
이밖에 피해지역을 단순 복구에 그치지 않고 더 안전하고 살기 좋은 마을로 재창조하기 위해 총 295억원 규모의 마을공동체 회복지원 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오는 10월말 경주에서 열리는 ‘2025 APEC 정상회의’성공개최를 위해 125억원(국비 95억원, 도비 30억원)을 편성해 빈틈없는 준비 지원에 박차를 가한다.
경북도는 주요 기반시설인 정상회의장, 미디어센터와 만찬장 등은 내달 중 완공을 목표로 막바지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이철우 지사는 “민생경제를 되살리고 도정 현안을 추진하는데 더 분발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재정 건전성을 지키면서 어려운 도민의 민생에 숨통을 틔우고 경북의 미래에 힘과 희망을 심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추가경정 예산안은 도의회 상임위원회와 예결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오는 9월 4일 본회의에서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