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29일 (목)
찌아찌아어 한글교과서 만든 서울대 이호영 교수 “수출 물꼬 튼 건 한류 덕분”

찌아찌아어 한글교과서 만든 서울대 이호영 교수 “수출 물꼬 튼 건 한류 덕분”

기사승인 2009-08-06 09:30:00
[쿠키 사회] 인도네시아 부톤섬 바우바우시에 사는 소수민족 찌아찌아족(族)은 자기네 말을 한글로 배운다. 초등학생들에게 주당 4시간씩 한글 교과서로 찌아찌아어를 가르치고, 고등학생들에게는 8시간씩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다. 한글로 된 찌아찌아어 교과서는 이호영(46) 서울대 언어학과 교수가 만든 것이다. 이 교수는 6일 “지금까지는 성공적”이라며 “이제 찌아찌아족들의 일상생활에 한글이 얼마나 녹아들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한국외대 전태현 교수(말레이·인도네세아통번역학과)의 소개로 3년 전 찌아찌아족을 만나게 됐다. 전 교수는 국제학술대회차 바우바우시를 방문했다가 한류 덕분에 한국 마니아가 된 현지 시장에게서 좋은 인상을 받고 이 교수에게 한글 보급을 적극 권했다.

시장은 이 교수가 추진하는 한글 보급 사업을 앞장서서 지원했다. 이 교수는 “정부의 견제가 가장 우려됐고 그 다음으로는 해당 민족의 교육열과 한글에 대한 관심이 문제가 됐다”면서 “지방정부와 협력협약(MOU)을 맺고 공식적으로 진행해야만 한글 보급이 성공할 수 있다는 게 이번 일로 입증됐다”고 말했다.

문자가 없는 소수민족들에게 한글을 전파한 사례가 없었던 건 아니다. 이 교수는 예전에 알타이 프로젝트 학술진흥재단 지원으로 중국 흑룡강 유역의 소수민족인 오로첸족(族)에게 한글을 전파하려 했지만 동북공정 등으로 인한 중국 정부의 곱지 않은 눈길 때문에 도중하차한 적이 있다. 또 태국 치앙마이 라오족언어를 조사했던 이 교수의 은사 이현복 교수(서울대 명예교수)도 비공식적으로 한글교육을 했고, 미국 뉴욕주립대 음성과학과 김석연 교수 역시 네팔 오지에 한글 보급 노력을 기울인 바 있다. 그러나 모두 실패했다.

이 교수는 “비공식적이거가 개인적으로 가면 실패하기 마련”이라며 “체계적인 교과서가 없었던 것도 성과를 제대로 내지 못한 원인이었다”고 말했다.

이 교수 역시 초기에 문제가 없었던 건 아니다. 학교에서 교육을 하려면 일관되고 표준화된 체계를 만들어야 했다. 한국에서 전문인력의 지원을 받아야 했고, 찌아찌아어를 분석하기 위해 원어민의 도움도 얻어야 했다. 그런데 한국에서 온 사람들은 향수병과 도시 스테레스, 추위, 불면증 등에 시달렸고 몇 번이나 귀국을 하겠다고 했다. 이 때문에 사업이 좌초될 위기에 처하기도 했다.

현지인 초등학교 교사 아비딘씨는 찌아찌아어 교과서 편찬에 많은 도움을 줬다. 이 교수는 아비딘씨와 함께 내년 여름까지 찌아찌아어 교과서 2권을 쓸 계획도 가지고 있다. 이 교수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신장된 국력과 한류의 인기 덕분에 한글 보급 사업이 예전보다 쉽게 진행될 수 있었다. 현지에서 한국의 인기와 한글·한국어 교육에 대한 열의가 의외로 높았으며, 한글을 통해 한국과의 교류가 활성화할 것이란 희망을 찌아찌아족들이 가지고 있어서 초기 접근이 쉬웠다는 것이다.

이 교수는 “이제 행정적 절차가 마련됐으니 그들의 일상생활에 한글이 얼마나 녹아들 수 있을지 관심을 두고 지원해가야 한다”며 “여력이 생기면 다른 민족, 더 나아가 한 나라의 국어를 한글로 채택하는 경우가 생기길 바란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이런 사업은 개인 재단의 재정 지원으로는 사업확장에 한계가 있다”며 “정부 차원의 체계적 지원이 된다면 더욱 쉽게 사업을 꾸려나갈 수 있고
같은 문자를 쓰는 형제민족 형제국가가 생겨나 민족 자긍심과 국가브랜드 강화라는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김남중
njkim@kmib.co.kr
김남중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대선 사전투표 첫날…주요 후보자들 투표 참여

주요 대선 후보들은 6·3 대선 사전투표 첫날인 29일 오전 일제히 투표장을 찾아 시민들의 참여를 호소했다.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이날 대학가가 있는 서울 서대문구 신촌에서 청년들과 함께 투표했다. 그는 투표 후 기자들에게 "국민들께서 반드시 투표에 참여하셔서 잘못된 결과를 빚어낸 내란 세력에 대해 엄중하고 강력하게 심판해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지지층 일각의 사전투표 부정선거 의혹에도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