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 D 서먼 주한미군사령관은 지난해 10월 워싱턴에서 열린 한 세미나에서 “북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한국을 상대로 사이버 전쟁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며 “사이버전 능력을 이미 상당한 수준까지 키워놨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미 중앙정보국(CIA) 수준이라는 분석도 하고 있다.
북한은 현재 3000여명의 사이버 공격 조직을 갖고 있고, 3만여명의 전자전 특수병력을 육성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북한은 1990년대부터 사이버전을 준비해 왔다.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평양 고사포사령부의 컴퓨터 명령체계와 적군 전파교란 등을 연구하던 인민무력부 산하 정찰국 121소를 사이버전 지도국으로 전환했다.
전국의 영재들을 평양 금성 1, 2중학교에 모아 전문 해커로 양성하고 있다. 86년 김정일의 지시로 평양에 설립된 사이버전 기술장교 육성 기관인 김일자동화대학(옛 미림대학)에선 매년 100여명의 졸업생이 배출되고 있다.
북한은 2009년 2월 정찰국과 노동당 산하 작전부, 35호실 등 3개 기관을 통합해 대남·해외공작 업무를 총괄하는 정찰총국을 만들어 사이버전 능력을 대폭 강화했다. 현재 대남 사이버전은 기술정찰조와 조선컴퓨터센터 등을 통합해 확대 편성한 정찰총국 산하 110연구소가 담당하고 있다.
북한은 중국 헤이룽장성과 산둥성, 푸젠성, 베이징 인접 지역 등에 대남 사이버전 수행 거점을 설치해 놓고 활발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 특히 랴오닝성 단둥시 거점은 대남 정보 수집을 전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0일 발생한 사이버 테러의 IP 주소가 중국인 것으로 밝혀지자 북한 소행설이 대두되고 있는 이유다.
국가정보원은 2008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간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한 사이버 테러 총 7만3030건 가운데 6건을 북한 소행으로 분류했다.
21일 민주통합당 정청래 의원에 따르면 국정원이 북한 소행으로 분류한 사이버 사건은 2009년 국립환경과학원 해킹, 한미연합사 해킹, 디도스(DDoS·분산서비스거부) 공격과 2011년 디도스 공격 및 농협 전산망 마비, 2012년 중앙일보 신문제작 시스템 장애 등이다.
이에 맞서 우리 군 소식통은 “사이버 인력을 1000명 정도 육성하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며 “예산과 인력수급 여건이 보장된다면 1000명 이상으로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재 국군사이버사령부 등에 근무 중인 우리 군 사이버전 인력은 400여명이며, 군은 올해 600명을 충원할 예정이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