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해양법협약 7조는 썰물 시 드러나는 간조노출지에 영해기점을 알리는 시설물을 세울 경우 이를 직선 기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썰물 시에만 드러나는 암초일 경우에도 해수면보다 높다면 영해기점이 될 수 있다. 우리나라는 현재 동해안 달만갑, 남해안 장수도, 서해안 소령도 등 23개 영해기점 도서 해안에 관련 표지를 설치해두고 있다.
하지만 영해기점 표지를 1960년대 말에 설치해 정확성이 떨어지고, 훼손·망실 등의 문제점도 자주 발생하고 있다. 해수부는 정확한 간조노출지를 찾아 영구 시설물을 새로 설치하게 되면 해양 영토가 여의도 면적의 14배 이상 확대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올해 4월부터 서해 가거도, 소국흘도, 홍도, 고서, 횡도 등 5개 영해기점도서에 등대기능뿐만 아니라 정밀위치 측정장치, 해상기상 측정장비 등을 갖춘 시설물을 설치할 예정이다.
아울러 해양 영토 최외곽에 위치한 도서와 그 주변 해역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도서종합관리방안도 마련한다. 독도 영유권 강화 및 지속 가능한 이용을 위해 관광자원화 등 과학적 관리도 해나가기로 했다. 이어도 해양과학기지는 체류형 연구기능을 강화하고, 경비용 대형 함정도 전담 배치한다.
해양 영토 강화방안과 함께 ‘유라시아 신 물류 루트 확대’도 추진한다. 러시아 극동지역 5개 항만 현대화 사업을 지원해 장기적으로 이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 기업 물류단지를 조성할 방침이다. 극동 항만에 물류 단지를 조성할 경우 대륙 철도와 국내 항만을 잇는 복합물류망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밖에 최근 잇따라 발생한 유류 오염사고 등을 예방하기 위해 안전항행을 위한 해상교통안전 시스템도 고도화하기로 했다. 박 대통령은 “앞으로 예상 가능한 모든 부분에 안전수칙과 사전예방 시스템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고 지시했다. 박 대통령은 유라시아 물류 루트 구축과 관련해선 “우리 경제의 지평을 대륙으로 넓혀가는 것으로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의 핵심 분야”라며 “그동안 논의만 무성하고 가시적 성과가 없었는데 작년에 한·러 정상회담을 통해 논의 진전의 물꼬가 트인 만큼 관련국 정부와 긴밀히 협력해 구체화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