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성 치매 및 우울증 환자 적극 관리해야
[쿠키 건강] 노인정신질환에 대한 낙인과 사회적 편견을 개선하고 질환 치료의 적극성을 높이기 위한 개선책을 강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대한노인정신의학회 정한용 이사장(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정신건강의학과)은 25일 20주년 기념 학술대회서 가진 기자간담회를 통해 "먼저 노인우울증은 진단하기 매우 어려운 질환이다. 우울증을 동반한 노인 대부분은 우울하다는 감정적 표현 보다 통증이 있다거나 기운이 없다 등을 호소한다"면서 "이런 증상만으로 검사를 실시할 경우 별다른 이상이 없으니 안정제 정도만 처방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안정제는 우울증 치료제가 아니다"고 지적했다.
안정제를 지속적으로 복용할 경우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항정신성 의약품에 해당하는 벤조다이아제핀은 장기간 사용하면 남용·의존 우려가 있고 다른 항정신성 약물과 병용 시 자살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홍나래 한림대 성심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조교수도 "우울증 약이 좋아지고 다양한 치료법이 많이 개발된 상태이다. 적절한 치료를 통해 부작용 없이도 병이 충분히 호전될 수 있다는 인식이 확립되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노인들이 이러한 우울증의 증상을 단지 신체 노화로 여기는 경우가 많아, 제대로 된 치료를 받는 것이 어려우므로 대화를 통해 적극적으로 치료에 가담하도록 하는 것도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들의 몫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간담회에서도 지적했듯이 우리나라는 우울증으로 인한 노인들의 자살문제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기 때문에 시급한 조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2012년 발표된 연령별 자살률에 관한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10만 명당 10대가 5.1명, 20대는 19.5명인 반면, 70대는 73.1명, 80대 104.5명으로 조사됐다. 고령화 사회에 들어서면서 경제적인 어려움, 정신적·육체적 질병에 대한 두려움이 증가하면서 자살로 생을 마감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이에 정 이사장은 치매 및 노인 우울증 등 정신과 질환에 대한 오해와 편견을 해소하기 위해 학회는 물론 사회 구성원 모두 부단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우리나라가 저출산, 핵가족화로 인해 급격하게 초고령화사회로 들어오면서, 노인성 치매 또한 노인우울증 만큼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떠올랐다
2012년 치매 유병률 조사 결과 65세 이상에서 9.18%, 환자 수는 약 54만 며 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향후 20년마다 치매 환자는 두 배씩 증가해, 현재 51만 명에서 2030년에는 114만 명 2050년에는 213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국정과제 일환으로 올해 7월부터 치매특별등급을 신설해 거동에는 큰 불편이 없지만 인지 기능이 떨어지는 경증 치매 노인환자들도 노인장기요양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게 했다. 등급제를 통해 노인 약 5만 명이 주간보호, 인지활동형 방문요양, 방문간호서비스 등의 혜택을 볼 수 있다.
단 치매특별등급 판정을 위해 기존 장기 요양 의사소견서와는 다른 별도의 양식에 의해 치매특별등급용 의사소견서를 제출해야 한다.
하지만 제도가 시행될 경우 타 진료과에서 가상치매환자에 대한 처방 및 위양성 치매 판정 등이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러한 우려 속에 정 이사장은 "복지부에서는 의사소견서를 발급하기 위해 6개 과목 6시간 교육만 이수하면 된다고 한다. 하지만 6시간 교육으로 치매를 평가하고 치료까지 한다는 건 쉽지 않아 걱정이 많다"면서 "가상치매는 노인우울증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까다롭고 복잡해 잘못 진단되고 치료가 늦어지면 가족과 환자에게 큰 해를 미칠 수 있다"고 피력했다.
특히 인지기능 검사에서 가장 기본적인 선별검사가 MMSE(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 간이정신상태검사)인데 정신적인 인지부분 평가는 기본적인 개념이 명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이사장은 "현재 대한치매학회와 노인정신의학회는 32시간 과정의 '치매 진료의사 전문화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면서 "교육을 통해서라도 치매와 관련된 기본적인 부분부터 면밀히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정책을 개발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역할은 조금 미흡했다. 학회의 기능으로서의 정책 개발은 쉽지 않은 일임은 알고 있지만 적극적으로 노력할 것"라면서 "앞으로도 대한민국 노인들의 정신건강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펼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제휴사 / 메디칼업저버 박미라 기자 mrpark@mo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