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액화수소플랜트 사업의 디폴트 사태가 현실화된 가운데 창원시의회 문순규·진형익 의원이 창원시의회 차원의 특별위원회 구성을 공식 제안하고 나섰다.
두 의원은 "사업 정상화를 위한 실질적 해법을 마련하고 창원시 재정위기 확산을 막기 위해 특위 구성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문 의원과 진 의원은 8일 발표한 공동 입장문을 통해 "지난 3월 18일 창원시 액화수소플랜트 사업을 추진한 특수목적법인 ‘하이창원’이 채무불이행(디폴트) 상태에 빠지면서 사업이 중대한 위기에 처했다"며 "창원시가 적극적인 수습에 나서지 않을 경우 최대 1100억원에 이르는 공적 재정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하이창원은 창원산업진흥원이 출자한 법인으로 현재 하루 약 2000만 원의 지연이자를 부담하고 있다. 이로 인한 연간 손실은 60억원을 넘을 수 있으며 법적 분쟁이 장기화될 경우 창원산업진흥원 파산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의원들은 특히 "창원시는 이번 사태에 대한 실질적 해결 노력 없이 채무부존재 소송 등으로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며 "이로 인해 정부와 경남도의 수소산업 주요사업에서 창원시가 점차 배제되고 수소산업 중심도시로서의 경쟁력도 위협받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에 의원들은 "창원시의회가 이제라도 책임 있는 조치를 해야 할 때"라며 '액화수소플랜트사업 정상화를 위한 특별위원회' 구성을 공식 제안했다. 특위는 갈등 조정, 관계기관 협력, 전문가 자문, 시민 의견 수렴 등을 통해 사업 정상화 방안을 마련하고 실질적인 정책 지원을 견인하자는 취지다.
문 의원과 진 의원은 "창원경제를 살리고 미래 산업을 준비하는 일에 여야가 따로 있을 수 없다"며 "5월 임시회에서 정치적 입장을 넘어 특위 구성을 힘있게 결의하자"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