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7일 (수)
우울증환자 비타민 D 결핍 '빨간불'

우울증환자 비타민 D 결핍 '빨간불'

기사승인 2015-04-01 15:43:55
"64.8% 비타민 D 결핍…의학적 접근 필요

[쿠키뉴스] 정신건강질환 환자에서 비타민 D 결핍률이 높아 보충제, 주사제 등의 의학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조언이 나왔다.

전북의대 정신건강의학과 김미영 교수팀은 27일 서울 힐튼호텔에서 열린 대한정신약물학회 창립30주년기념 춘계학술대회 포스터 세션을 통해 ""정신건강질환 환자에서 비타민 D 결핍 발생률과 우울증상, 인지기능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비타민 D는 자외선 B를 통해 체내에서 활성형태 25-OH 비타민 D로 변환되며 이후 각 조직들에 분포돼 비타민 D 수용체(vitamin D receptor, VDR)와 결합해 그 기능을 나타낸다.

최근 VDR이 근골격계 외에도 대뇌를 비롯한 여러 조직들에 분포함이 알려졌으며, 비타민 D와 주요정신건강질환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들도 보고되고 있다.

연구팀은 총 입원환자 57명을 추려내 혈중 비타민 D 검사(25-OH 비타민 D)와 벡 우울척도, 간이정신상태검사 등을 실시했다. 세부질환별로는 주요우울장애 13명 양극성 정동장애 23명, 기타질환 21명(기질성정신장애, 뇌진탕후증후군, 조현병, 충동조절장애 등)이 포함됐다.

분석결과 대상군 가운에 64.8%가 비타민 D 결핍(혈중 25-OH 비타민 D 농도 〈20㎎/㎖)을 나타냈으며, 세부 질환별로는 주요우울장애 38.5%, 양극성 정동장애 69.6%, 기타질환 77.8%로 높은 발생률을 보였다. 단 혈중 25-OH 비타민 D 농도는 세부질환에 따른 그룹간 비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아울러 전체 환자들을 대상으로 우울증상(벡 우울척도 총점), 인지기능(간이정신 상태 총점), 25-OH 비타민 D 농도 사이의 상관분석결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 정신건강의학과 입원 환자들에서 비타민 D 결핍률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면서 ""결핍에 대한 관심을 비롯한 비타민 D 보충제와 주사제 등의 의학적 접근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향후 더욱 정확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서라도 비타민 D 결핍과 우울증상과 인지기능 등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들이 추가적으로 시행되야 한다""고 제언했다.


쿠키뉴스 제휴사 / 메디칼업저버 박미라 기자 mrpark@monews.co.kr"
송병기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대체 불가’ 이혜영처럼”…목표 이룬 김성철의 다음 스텝

“연기라는 것이 얼굴도 중요하고 목소리도 중요하지만요. 배우에게서 뿜어져 나오는 에너지가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누구나 대체 불가이길 원할 거예요. 저도 마찬가지예요. (이혜영) 선생님 에너지는 고유하잖아요. 대체 불가죠.”무대부터 매체까지 영역을 가리지 않고 활약해 온 배우 김성철이 또 다른 목표를 세웠다. 지난달 28일 서울 소격동 한 카페에서 만난 그는 롤모델로 영화 ‘파과’를 함께한 이혜영을 꼽으며, 이같이 밝혔다.&ls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