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13일 (화)
제1형 당뇨병 치료 유망주 '사이토카인'

제1형 당뇨병 치료 유망주 '사이토카인'

기사승인 2015-08-10 08:42:55
"쥐실험에서, 제1형 당뇨병 관련 증상 눈에띄게 개선

[쿠키뉴스] 제1형 당뇨병을 치료하는데 있어서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항염증 사이토카인(cytokine)의 효능이 새로이 입증됐다.

스웨덴 웁살라 대학 Kailash Singh 박사팀이 Scientific Reports 7월 30일자에 게재된 연구결과를 통해 "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사이토카인 중 하나인 인터루킨-35가 제1형 당뇨병 관련 증상을 눈에 띄게 개선시켰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쥐에게 스트렙토조토신(streptozotocin)이라는 약물을 투여해 제1형 당뇨병을 유도한 후, 이들 쥐에게 면역세포에서 만들어진 단백질인 인터루킨-35(IL-35)을 투여했다. 그 결과 제1형 당뇨병 발병이 눈에띄게 억제됐는데, 세부적으로는 혈당수치가 정상화되고 면역관용이 유지되는 등의 개선효과가 나타났다.

아울러 비비만성 당뇨병(non-obese diabetic)에서도 IL-35에서 추출한 단백질이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추가 실험을 진행했고, 기존의 제1형 당뇨병 쥐와 마찬가지로 혈당 수치가 정상으로 돌아왔다. 특히 IL-35 투여를 도중에 중단해도 당뇨병 관련 증상이 재발하는 등의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는 게 연구팀의 부연설명이다.

Singh 박사는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IL-35가 제1형 당뇨병을 치료하는데 있어서 최적의 치료제가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게 됐다"면서 "특히 기존의 제1형 당뇨병 환자는 물론 비비만성 제1형 당뇨병 쥐에서도 똑같은 효능이 나타났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제1형 당뇨병 환자들은 정상인과 비교했을 때 사이토카인 수치가 낮은 사실도 함께 확인됐다. 이를 통해 향후 제1형 당뇨병에 대한 면역 조절인 T 세포의 영향에 대한 연구도 추가적으로 시행되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이라 불리는 제1형 당뇨병은 T 세포가 췌장의 인슐린 생산 베타 세포를 표적으로 삼아서 파괴하는 자가면역질환이다. 현재까지 명확한 발병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지만, 전문가들 사이에선 유전적 요인과 콕사키(Coxsackie) B 바이러스와 같은 환경적 요인이 자가면역작용을 유발하는 부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추정하고 있다.

쿠키뉴스 제휴사 / 메디칼업저버 박미라 기자 mrpark@monews.co.kr

[쿠키영상] '딱 걸렸어'…남의 차를 들이받고 도망치는 얌체 운전자


[쿠키영상] '누군가 앞에 있는 엉덩이를 만졌다?' 해수욕장 성폭력 예방, 이렇게 하자!


[쿠키영상] 짜릿한 절벽 다이빙의 세계로 ‘고고씽!’"
송병기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한국미 알리겠다는 의무감”…‘탄금’ 이재욱·조보아, 전세계 홀릴 미스터리 멜로 사극

철저한 고증으로 구현한 한국미를 바탕으로 사극에 최적화된 배우들이 의기투합한 ‘탄금’이 베일을 벗는다.넷플릭스 시리즈 ‘탄금’ 제작발표회가 13일 오전 서울 신도림동 라마다호텔에서 열렸다. 현장에는 김홍선 감독, 배우 이재욱, 조보아, 정가람, 엄지원, 박병은이 참석했다.‘탄금’은 실종됐던 조선 최대 상단의 아들 홍랑이 기억을 잃은 채 12년 만에 돌아오고, 이복누이 재이만이 그의 실체를 의심하는 가운데 둘 사이 싹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