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4일 (일)
재발에 우는 난소암 환자들…약값에 우는 현실 개선돼야

재발에 우는 난소암 환자들…약값에 우는 현실 개선돼야

기사승인 2016-03-05 00:46:55

[인터뷰] 김태중 삼성서울병원 교수

“난소암은 재발의 두려움이 큰 암입니다. 첫 번째 치료에서 수술로 암을 제거하고 표적항암제를 사용해 재발할 확률을 낮춰주는 것이 최선의 치료지만 현실은 이러한 치료를 적극적으로 할 수 없는 환경입니다.”

김태중 삼성서울병원 산부인과 교수(사진)는 난소암 환자의 치료현실을 묻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인터뷰에서 김 교수는 “수술 후 첫 번째 항암치료에서 표적항암제를 사용한다면 재발 가능성을 낮춰 완치의 가능성을 높여준다. 또 혹시 재발하더라도 그 재발시점을 최대한 늦추기 때문에 환자의 생존율 개선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

현재 난소암 치료는 수술 후 항암치료를 원칙으로 한다. 난소암은 재발률이 높은 암으로 주치의는 치료 계획을 세울 때 재발을 염두에 두고 항암제 선택에 신중해진다. 그러나 상당수 의사들이 난소암의 적극적인 치료를 방해하는 요인으로 제한된 1차 치료 옵션을 꼽는다. 즉 건강보험에서 지원해주는 표적항암제가 없어 환자의 경제적 사정에 따라 보험이 되는 세포독성항암제로 치료를 시작하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난소암은 일단 재발하면 다른 항암제를 사용해도 효과적이지 않고 재발을 거듭한다. 따라서 첫 번째 치료에 재발하지 않도록 최선의 방법을 강구하는 것이 치료예후를 결정한다”고 말했다.

그는 “표적항암제 치료가 완치를 보장하는 것은 아니지만 1차 치료에 사용 시 ‘최선의 치료를 했기 때문에 살 수 있다’는 희망이 생겨 환자의 정서적 문제 개선과 예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설명했다.

난소암 치료의 핵심은 재발을 막고 얼마나 재발을 늦추는 가에 있다. 그렇다면 의료진 입장에서는 재발에 막아줄 수 있는 표적항암제 사용이 절실할 것이다. 그러나 김 교수는 “1차 치료에서 쓸 수 있는 표적항암제인 아바스틴이 건강보험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약값이 비싸다. 이 약이 절실하더라도 환자의 경제적 상황에 따라 사용하지 못할 수도 있다. 실제로 표적항암제로 치료를 시작하고 난 후 약값을 지불하는 것이 더 이상 힘들어져 치료를 중도에 포기하는 환자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경제적 사정으로 치료선택이 달라질 수 있는 현실은 개선돼야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교수는 “유럽 주요 국가와 호주 등 20여 국가에서는 1차 치료에서 아바스틴이 건강보험 적용이 돼 많은 환자들이 이 표적항암제를 이용한 치료를 받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환자들은 3주에 300만원 가까이 되는 약값은 지불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난소암은 적은 약제의 수와 보험급여 제한으로 치료의 선택폭이 제한적”이라며 “현재 근거가 되는 사용 가능한 표적항암제를 최상의 시점에 사용해 치료보장성을 개선되어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단비 기자 kubee08@kukimedia.co.kr




[쿠키영상] 박보검 차기작은 사극 ‘구르미 그린 달빛’ 왕세자 役...‘총명한 세자랑 싱크로율 100%’

[쿠키영상] "생방송 중에 뭐냐?"

[쿠키영상] 섹시한 몸매의 비결은?…'미스 맥심' 모델 정주희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깜짝 콜업’ 김혜성, 28번째 빅리거로…애틀란타전 대수비 출전

한국을 떠나 미국 도전에 나선 김혜성(LA 다저스)이 빅리그에 입성하며 꿈을 이뤘다.김혜성은 4일(한국시간) 오전 8시15분 미국 조지아주 애틀란타 트루이스트 파크에서 열린 ‘2025 미국 메이저리그(MLB)’ 애틀란타 브레이브스와 원정경기에서 9회말 대수비로 출전하며 메이저리그에 첫발을 내디뎠다.LA 다저스는 이날 경기에 앞서 발목 부상을 당한 토미 에드먼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김혜성을 콜업했다. 김혜성은 내·외야를 모두 소화할 수 있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