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 분석평가 전문사이트 팜스코어는 12월말 결산 30개 다국적 제약사의 감사보고서(화이자 11월말 결산, 세르비에 9월말 결산)를 토대로 지난해 판관비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8일 밝혔다.
30개사의 지난해 매출액은 전년(4조3526억원) 대비 4.5% 증가한 4조5475억원이었다. 매출액 가운데 31.4%에 해당하는 1조4267억원을 판관비로 사용했다. 전년(1조3245억원) 대비 7.7% 증가한 규모다.
매출대비 판관비율이 가장 높은 제약사는 한독테바였다. 이 회사의 지난해 매출은 105억원인데 비해 판관비는 159억원으로 판관비율은 151.7%에 달했다. 판관비 중 급여와 광고선전비의 비중이 높았으며 매출의 32.5%를 광고선전비로 사용했다.
이어 호스피라코리아(78.5%), 한국메나리니(70.6%), 글락소스미스클라인(53.5%), 한국산도스(40.8%), 한국알콘(39.9%), 한국애브비(39.2%), 한국엘러간(38.3%), 한국세르비에(37.9%), 한국오츠카제약(35.5%) 순으로 판관비율이 높았다.
판관비 규모면에서는 한국화이자제약이 2013억원으로 1위를 차지했다. 화이자는 지난해 6474억원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판관비율은 31.1%로 집계됐다. 판관비 가운데 503억원을 광고선전비로 지출해 30개 다국적 제약사 중 규모가 가장 컸으며 명예퇴직금으로 192억원을 지급해 눈길을 끌었다.
이어 글락소스미스클라인(1653억원), 한국노바티스(1285억원), 한국아스트라제네카(1039억원), 바이엘코리아(993억원), 사노피-아벤티스코리아(818억원), 한국얀센(736억원), 한국로슈(563억원), 한국베링거인겔하임(541억원), 한국애보트(492억원) 순이었다.
분석대상 30개 다국적 제약사 가운데 판관비가 증가한 곳은 21곳(70.0%), 감소한 곳은 9곳(30.0%)으로 조사됐다.
한편 판관비는 기업이 영업활동(판매활동)을 하는데 있어 발생되는 비용을 통틀어 말하며 급여와 임차료, 광고선전비, 접대비 등이 포함된다. 팜스코어 최성규 수석연구원은 "일부 업체는 판관비 중 광고선전비가 지나치게 높았다"며 "매출 성장세가 크지 않은 상황에서 이러한 비용은 회사경영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newsroom@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