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조한 날씨로 인한 ‘소리 없는 눈 앓이’, 여성 특히 주의해야

건조한 날씨로 인한 ‘소리 없는 눈 앓이’, 여성 특히 주의해야

기사승인 2016-11-03 14:28:31

[쿠키뉴스=박예슬 기자] 갑작스레 추워진 날씨 속 건조한 바람을 타고 전국적인 ‘눈 몸살’이 시작됐다. 아침저녁으로 부는 찬바람으로 인해 눈의 수분이 증발하기 때문이다. 초기에는 눈이 뻑뻑한 정도의 가벼운 증상이지만, 자칫 눈 표면에 상처나 염증이 생기면 사물이 흐릿하게 보일 수 있고 눈 주변의 통증과 더불어 심각한 두통을 유발하기도 한다.

특히 여성들은 눈 화장이 생활화돼 있고 폐경 전후 겪는 호르몬 이상까지 더해져, 남성들보다 늘 눈이 건조하고 피로한 것이 사실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발표에 따르면 실제로 2015년 전체 안구건조증 환자의 비율은 여자 3만3211명(64%), 남자 1만8503명(36%)으로 여성 환자가 남성에 비해 2배 가까이 많았다.

그렇다면 여성이 주의해야 할 대표적인 안질환과 예방법은 무엇인지 전루민 이대목동병원 안과 교수의 도움말을 통해 알아보자.

◇소리 없는 시력 도둑 ‘녹내장’, 폐경 이후 급증

녹내장은 안압이 지나치게 높으면 시신경이 눌리거나 혈액 공급에 장애가 생겨 발생하는 질환이다. 우리 눈의 정상 안압은 10~20mmHg까지로, 안압이 상승하더라도 40mmHg 이상 갑자기 오르지 않는 이상, 자각 증상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초기 증상이 전혀 없다가 말기에 이르러서야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 흔히들 녹내장을 두고 '소리 없는 시력 도둑'이라고 한다.

심평원 자료에 따르면 2015년 녹내장 환자는 여성이 남성에 비해 1.18배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여성의 경우 50대 이상 환자가 전체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어, 그 중에서도 폐경 이후 여성들에게 녹내장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녹내장 예방에 대해 전루민 교수는 “안압을 높이는 행동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좋다. 옆으로 자는 습관이나 책상에 엎드려 잠이 드는 경우, 과도한 카페인 섭취와 흡연 등은 안압을 높인다”며, “특히 어두운 환경 속에서 스마트폰을 보는 습관은 급성 녹내장 발병을 촉진시키는 위험 요인이므로 적당한 거리를 두고 밝은 환경에서 스마트폰을 조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중간 중간 눈을 쉬어줄 것”을 당부했다.

◇여성발병률 2배 ‘안구건조증’, 다양한 원인으로 눈물길 막혀

우리 눈동자에는 지방층, 수성층, 점액층이 있는데, 이중 지방층이 유지돼야 눈물이 빨리 증발하지 않는다. 이 지방 성분을 분비하는 곳이 마이봄샘(Meibomian gland)으로 노화, 미세먼지, 화장품 같은 외부 자극에 의해 막힐 수 있다.

안구건조증은 남성보다 여성 발병률이 2배가량 높은데 콘택트렌즈, 눈 화장, 경구피임약 복용 등의 생활습관들이 주요한 원인으로 꼽힌다. 여기에 갱년기 여성들이 많이 복용하는 항히스타민제, 항우울제, 고혈압약, 이뇨제 등의 일부 성분은 눈물 생성을 억제해 증상을 악화시키기도 한다.

안구건조증을 예방하거나 증상을 완화하려면 하루 8~10컵의 물을 마시는 것이 좋다. 책을 읽거나 TV를 볼 때 각막을 덮고 있는 눈물층이 잘 작용할 수 있도록 눈을 자주 깜빡이고, 책이나 TV를 눈 위치보다 약간 아래쪽에 두는 것도 도움이 된다. 이외에도 가습기를 사용해 습도를 60% 정도로 유지하면 눈물 증발을 줄일 수 있다.

◇실명 원인 1위 ‘당뇨망막병증’, 임신부 각별히 유의해야

당뇨가 무서운 것은 무엇보다 합병증 때문인데, 당뇨망막병증은 당뇨 합병증 중 가장 유병률이 높은 질환이자 국내 실명 원인 1위로도 꼽힐 만큼 위협적이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당뇨망막병증은 당이 높은 피가 혈관을 타고 흐르면서 눈을 망가뜨리는 병으로, 초기에는 대부분 아무런 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며 시력도 정상인 경우가 많다. 그러다 눈부심이나 눈 안에 출혈로 인한 갑작스러운 시력 저하를 불현듯 느끼게 되는데, 이런 증상이 생길 정도가 되면 이미 치료를 하더라도 정상적인 시력을 회복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심평원에 따르면 지난해 당뇨망막병증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약 31만명으로, 그 중 여성 환자가 50.5%로 과반 이상을 차지했다. 또한 여성의 경우 임신을 하면 당뇨병을 유발하는 호르몬 분비가 증가해 일시적으로 망막에 이상이 생길 수 있는데, 평소 당뇨병을 앓고 있던 임신부라면 이러한 호르몬의 변화로 인해 당뇨망막병증 발생 확률이 3배 가량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뇨 진단을 받았다면 즉시 안과 검진을 함께 받는 것이 좋고, 당뇨망막병증을 진단 받았다면 2~4개월마다 꾸준한 검진을 받아야 한다. 특히 당뇨를 앓고 있던 여성이 임신한 경우 3개월에 한 번씩 안과 검진을 받도록 하며, 출산 이후에도 6개월까지는 꾸준히 안과적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

전 교수는 “가족력이 있거나 연령이 높으면 안과 검진을 반드시 정기적으로 받아야 하는데, 실명을 유발하는 안과질환들 중 대부분은 발생 초기에 별다른 자각 증상이 없기 때문이다”며, “정해진 기간을 두고 정기적으로 안과 검진을 받는 것만이 가장 안정적인 관리법이다”고 강조했다.

yes228@kukinews.com

박예슬 기자
yes228@kukinews.com
박예슬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