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박예슬 기자] 정밀의료의 발전을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을 비롯해 시스템 자체의 획기적인 혁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모아졌다.
이와 관련 30일 서울 여의도 국민일보 12층 컨벤션홀에서 ‘2016 미래의학포럼’이 개최됐다. 이번 포럼은 국민일보와 쿠키뉴스가 주관하는 행사로, ‘맞춤의학’을 주제로 정밀의료, 신약개발, 헬스케어의 기술 동향을 살피고 국가 차원의 전략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포럼의 1세션에서는 ‘정밀의료’를 주제로 서정선 서울의대 유전체연구소장의 주제발표 후, 백롱미 분당서울대병원 부원장이 좌장을 맡고 패널들이 참석한 가운데 이와 관련한 토론이 진행됐다.
정영기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술개발과장은 “정밀의학을 국가 아젠다로 세워서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 과장은 “정부는 국가적 차원에서 R&D를 강화하기 위해 9개 과제를 선정해 추진하고 있으며, 그 중 하나가 바로 정밀의료 프로젝트”라며, “정밀의료와 관련해 연구‧산업화에 필요한 공공 인프라와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 목표다”고 말했다.
아울러 정 과장은 “한국인 3대 전이암에 대해 유전체 분석을 하고 임상시험을 통해 맞춤형 항암 진단치료법을 개발할 계획”이라면서, “또한 병원에서 지원할 수 있는 의료정보시스템을 별도로 개발하고 정밀의료 기반의 건강관리서비스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승준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장은 바이오 기반 산업 인프라를 잘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 센터장은 “우리나라는 ICT 인프라, 의료수준이 높고 국민건강 데이터도 잘 갖춰져 있다. 하지만 인프라 수준은 잘 갖춰져 있지만 활용은 저조하다는 게 일반적인 평가다”고 지적하며, “정밀의료와 디지털 헬스케어를 인프라 활용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김종원 삼성서울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는 보험수가, 연구개발에 대한 부처간 논리, 개인정보 보호법 등 현실적인 문제점을 언급하며 의견을 제시했다. 김 교수는 특히 “유전체 정보가 개인정보가 되느냐는 매우 중요한 문제다. 정밀의료는 유전자 기반으로 모든 진단 기준이 바뀌고 있기 때문”이라며, “따라서 이 문제는 사회 규제의 어뷰징을 줄이는 방향으로 가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김 교수는 “정부가 강력한 리더로서 방향을 이끌기 보다는 민간산업에서 발전하는 것을 서포트하면서 공정하게 심사하는 역할로 전환해주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yes228@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