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21일 (수)
국립암센터-첨복재단, 보로노이에 ‘뇌암 줄기세포 표적치료제’ 기술이전

국립암센터-첨복재단, 보로노이에 ‘뇌암 줄기세포 표적치료제’ 기술이전

기사승인 2017-04-13 14:55:18 업데이트 2017-04-13 14:55:23

[쿠키뉴스=박예슬 기자] 국립암센터와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신약개발지원센터는 오늘 13일 코엑스에서 바이오 벤처기업인 보로노이와 ‘뇌암 줄기세포 표적치료제에 대한 기술이전 및 공동연구’에 대한 협약식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암 줄기세포는 암의 증식이나 재발·전이의 근본원인으로, 암 조직의 일부로 존재하지만 암의 전체 성격을 좌지우지한다. 또한 항암치료 도중 치료에 대한 저항성이 커져 치료가 어려워지는 것도 암 줄기세포 때문이다.

암 줄기세포를 표적으로 하는 표적치료는 모든 암종에 적용되는 근본적이고 획기적인 치료법이 될 수 있는데, 아직까지 암 줄기세포에 특이적인 표적이 발견되지 않아 그동안 치료제 개발이 부진했다. 

이에 국립암센터 국제암대학원대학교 박종배 대학원장과 신약개발지원센터 최환근 박사 연구팀은 뇌 줄기세포의 줄기능(stemness)을 조절하는 유전자를 발굴하고 이를 표적으로 하는 표적치료제를 개발했다. 연구팀은 기술이전을 통해 보로노이와 협력해 전임상 및 임상시험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이강현 국립암센터 원장은 “암 줄기세포를 표적으로 하는 치료제는 기존 항암치료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암 치료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획기적인 치료제가 될 것”이라며, “이번 협약을 계기로 조속한 시일 내 임상시험을 마치고 상용화에 성공해 난치성 암환자들에게 희망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이재태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사장은 “암줄기세포 표적치료제 개발은 암의 재발과 전이를 막을 수 있는 혁신적 치료법이다. 앞으로도 대구에서 대한민국 신약개발의 새로운 역사를 써나갈 것이다”고 밝혔다.

김현태 보로노이 대표는 “국립암센터와 신약센터가 협업한 이 기술을 토대로 글로벌 임상개발 및 다국적 제약사 기술이전을 위해 자사 역량을 최대한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yes228@kukinews.com

박예슬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룰러’ 박재혁의 웃음 “쵸비 펜타킬? 다음엔 안 줘”

‘룰러’ 박재혁이 ‘쵸비’ 정지훈에게 펜타킬을 주지 않겠다고 웃으며 말했다.젠지는 21일 오후 5시 서울 종로구 롤파크 LCK 아레나에서 열린 ‘2025 LCK’ 정규시즌 2라운드 한화생명e스포츠와 경기에서 풀세트 접전 끝에 세트스코어 2-1로 승리했다. 15연승을 질주한 젠지는 2위 한화생명과 격차를 3경기 차로 벌리며 선두 자리를 굳건하게 지켰다. 또 21세트 연속 승리로, LCK 세트 최다 연승 신기록을 경신했다. 종전 기록은 2024년 젠지가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