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4일 (일)
국립암센터-첨복재단, 보로노이에 ‘뇌암 줄기세포 표적치료제’ 기술이전

국립암센터-첨복재단, 보로노이에 ‘뇌암 줄기세포 표적치료제’ 기술이전

기사승인 2017-04-13 14:55:18 업데이트 2017-04-13 14:55:23

[쿠키뉴스=박예슬 기자] 국립암센터와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신약개발지원센터는 오늘 13일 코엑스에서 바이오 벤처기업인 보로노이와 ‘뇌암 줄기세포 표적치료제에 대한 기술이전 및 공동연구’에 대한 협약식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암 줄기세포는 암의 증식이나 재발·전이의 근본원인으로, 암 조직의 일부로 존재하지만 암의 전체 성격을 좌지우지한다. 또한 항암치료 도중 치료에 대한 저항성이 커져 치료가 어려워지는 것도 암 줄기세포 때문이다.

암 줄기세포를 표적으로 하는 표적치료는 모든 암종에 적용되는 근본적이고 획기적인 치료법이 될 수 있는데, 아직까지 암 줄기세포에 특이적인 표적이 발견되지 않아 그동안 치료제 개발이 부진했다. 

이에 국립암센터 국제암대학원대학교 박종배 대학원장과 신약개발지원센터 최환근 박사 연구팀은 뇌 줄기세포의 줄기능(stemness)을 조절하는 유전자를 발굴하고 이를 표적으로 하는 표적치료제를 개발했다. 연구팀은 기술이전을 통해 보로노이와 협력해 전임상 및 임상시험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이강현 국립암센터 원장은 “암 줄기세포를 표적으로 하는 치료제는 기존 항암치료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암 치료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획기적인 치료제가 될 것”이라며, “이번 협약을 계기로 조속한 시일 내 임상시험을 마치고 상용화에 성공해 난치성 암환자들에게 희망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이재태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사장은 “암줄기세포 표적치료제 개발은 암의 재발과 전이를 막을 수 있는 혁신적 치료법이다. 앞으로도 대구에서 대한민국 신약개발의 새로운 역사를 써나갈 것이다”고 밝혔다.

김현태 보로노이 대표는 “국립암센터와 신약센터가 협업한 이 기술을 토대로 글로벌 임상개발 및 다국적 제약사 기술이전을 위해 자사 역량을 최대한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yes228@kukinews.com

박예슬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깜짝 콜업’ 김혜성, 28번째 빅리거로…애틀란타전 대수비 출전

한국을 떠나 미국 도전에 나선 김혜성(LA 다저스)이 빅리그에 입성하며 꿈을 이뤘다.김혜성은 4일(한국시간) 오전 8시15분 미국 조지아주 애틀란타 트루이스트 파크에서 열린 ‘2025 미국 메이저리그(MLB)’ 애틀란타 브레이브스와 원정경기에서 9회말 대수비로 출전하며 메이저리그에 첫발을 내디뎠다.LA 다저스는 이날 경기에 앞서 발목 부상을 당한 토미 에드먼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김혜성을 콜업했다. 김혜성은 내·외야를 모두 소화할 수 있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