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식 금융감독원장의 ‘낙마’로 차기 금감원장 인선이 안개속에 빠지고 있다. 청와대는 금융개혁을 위해 민간 출신 금감원장을 선호하고 있지만 앞서 민간 출신 금감원장의 연이은 낙마가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여기에 청와대는 남북정상회담(4월 27일)과 지방선거(6월 13일) 등 굵직한 일정도 앞두고 있다. 이에 금융권에서는 차기 금감원장 인선이 지연되는 가운데 교수 출신 금감원장의 임명 가능성을 점치고 있다.
18일 금융권에서는 교수 출신이 차기 금감원장으로 임명될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전성인 홍익대 경제학과 교수, 윤석헌 금융행정혁신위원장(서울대 경영학과 객원교수) 등이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차기 금감원장으로 교수 출신이 거론되는 것은 앞서 문재인 대통령이 개혁을 위해서는 ‘외부 발탁’이 불가피하는 입장을 밝혔기 때문이다. 문 대통령은 13일 “(인사의) 논란을 피하는 무난한 선택이 있다. 주로 해당 분야의 관료 출신 등을 임명하는 것”이라면서도 “근본적인 개혁이 필요한 분야는 과감한 외부 발탁으로 충격을 주어야 한다는 욕심이 생긴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의 이같은 인사 방침은 앞서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에 이어 낙마한 최흥식 전 금감원장과 김기식 전 금감원장을 통해 실현되기도 했다. 또 차기 금감원장에 관료출신을 임명할 경우 문 대통령이 강조해온 금융·재벌 개혁이 후퇴한다는 우려도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문 대통령의 발언이 있었던 만큼 이제 와서 관료출신을 금감원장에 임명할 경우 개혁을 포기했다는 비판이 청와대로 향할 수 있다”며 “청와대가 관료 출신을 차기 금감원장에 임명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권에서는 관료출신과 앞서 실패한 민간 금융회사 및 정치권 출신을 제외할 경우 외부에서 기용할 만한 인재가 결국 학계 출신 밖에 없는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이러한 관측에 따라 주목을 받고 있는 인물이 전성인·윤석헌 교수다.
전성인 교수는 금융분야에 대한 개혁성향이 강한 인물이다. 그는 은산분리를 반대하고 금융위의 케이뱅크의 인가 문제를 지적한 바 있다. 또 삼성 등 재벌개혁에 대해서도 정부와 뜻을 같이 하고 있다. 그는 이러한 개혁 성향을 바탕으로 앞서 금융위원장은 물론 금감원장 후보로 거론되기도 했다.
윤석헌 교수는 금융행정혁신위원장을 맡아 금융위의 개혁에 앞장선 인물이다. 혁신위가 권고한 개혁안에는 ▲민간 금융회사의 근로자추천이사제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의 차명계좌에 대한 과징금 부과 ▲키코(KIKO)사태 재조사 등 금융위가 거부한 안건도 다수 포함돼 소신있는 학자로 평가받고 있다.
다만 청와대가 관료출신 임명을 통해 금감원의 안정에 집중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관료출신 금감원장 후보로는 정은보 전 금융위 부위원장과 고승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위원, 유광열 금감원 수석부원장, 김용범 금융위 부위원장 등이 거론되고 있다.
한편 논란의 중심에 있는 금감원은 금융권 채용비리, 삼성증권 사태 등 해결해야할 현안이 산적한 만큼 조직 추스르기에 집중하겠다는 계획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수장 공백과 무관하게 제2금융권 채용비리 조사와 삼성증권 검사 등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계원 기자 Chokw@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