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로직스의 특혜상장·분식회계 논란이 계속되는 가운데 당시 상장을 주도한 인물들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일부 투자자들은 이번 사태를 두고 이들에 대한 책임 소재를 분명히 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놓고 있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상장 규정을 변경해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상장을 가능하게 한 금융위원회와 한국거래소,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상장을 대표주관한 한국투자증권의 핵심 인원들은 현재까지 대다수 금융현장에서 승승장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들여다 볼 곳은 2016년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유가증권시장 상장이 가능하도록 상장규정 변경을 주도한 거래소다. 거래소는 2015년 11월 유가증권시장 상장규정에서 적자요건을 삭제하고 ‘시총 6000억원, 자본 2000억원’이라는 요건을 추가했다. 이에 따라 4년 연속 적자 상태이던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상장이 가능해 졌다.
거래소 안에서 상장규정 변경 업무를 담당한 곳은 유가증권시장본부 상장부이다. 당시 상장부는 부장을 현장 책임자로 두고, 위로 상무와 유가증권시장본부장의 통제를 받고 있었다. 당시 거래소의 최고 책임자는 최경수 전 거래소 이사장이다.
최경수 전 이사장은 2016년 9월까지 이사장 업무를 수행하고 정찬우 전 이사장과 교체됐다. 김원대 당시 유가증권시장본부장은 현재 거래소가 자본을 98% 출연한 IR협의회 회장을 맞고 있다. 또한 당시 K상무는 현재 거래소를 나와 법무법인 지평에서 IPO와 관련된 수석전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K상장부장도 승진해 현 거래소 유가증권시장본부 상무로 재직하고 있다.
거래소 관계자는 삼성바이오로직스 특혜상장 의혹에 대해 “적자기업의 상장은 미국에서 이미 도입된 제도로 적자기업이지만 미래성장성이 높은 기업이 유가증권시장을 통해 성장에 필요한 자본을 조달 할 수 있도록 도입한 것”이라면서 “특혜는 없었다”고 해명했다.
거래소에 이어 상장규정 변경을 최종 승인한 곳은 금융위원회다. 당시 금융위의 수장은 임종룡 전 위원장으로 정권교체를 계기로 자리에서 물러났다. 유가증권시장을 담당하던 김학수 당시 자본시장국장은 현재 상임위원으로, L과장은 부이사관으로 승진해 활동 중이다. 특히 당시 정찬우 금융위 부위원장은 이후 거래소 이사장을 역임하다 중도 사퇴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당시 규정변경은 거래소가 주도한 것으로 금융위는 확인만 했다”고 설명했다.
금융위와 거래소가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유가증권시장 상장이 가능하도록 만든 이후 실제 상장을 견인한 곳은 대표상장주관사인 한국투자증권이다. 한투의 수장은 2007년부터 지금까지 유상호 사장이 자리를 지키고 있다. 실질적인 IPO책임자는 K모 당시 IB그룹장으로, 그는 현재 IPO분야의 성과를 인정받아 경영기획총괄 부사장으로 승진한 상태다.
상장주관사는 IPO 기업의 재무제표를 검토하고, 예비 실사와 본실사를 통해 IPO 기업의 경영실적, 영업관련 사항, 재무 건전성 등을 확인·조사할 의무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번 분식회계 논란의 결과에 따라 한투 역시 책임성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한 상황이다.
한편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상장을 주도한 인물들이 현직에서 왕성히 활동하는 사이 15% 가량의 개인투자자들은 이번 분식회계 사태로 짙은 한 숨을 내쉬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주가가 분식회계 논란으로 4월30일 종가기준 48만8000원에서 5월4일 35만9500원까지 떨어지는 등 불확실성이 커진 영향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 한 투자자는 “58만원까지 가던 주식이 분식회계 논란으로 37만원대로 떨어졌다. 주가가 요동치는 사이 개인투자자들은 피해를 보고 공매도 세력과 기관투자자들만 이익을 보고 있다”며 “논란의 소지가 있는 주식을 상장한 이들에 대해 분명한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말했다.
조계원 기자 Chokw@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