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 연봉이 9000만원 안팎인 은행권에 희망퇴직 칼바람이 불어오고 있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청년일자리 창출을 위해 은행권의 인위적 희망퇴직 확대를 독려하고 나선 영향이다.
은행권에서는 이를 두고 ‘아랫돌 빼서 윗돌 괴기식’ 미봉책에 불과하다는 지적과 함께 이번 희망퇴직이 인위적인 구조조정의 수단으로 전락할 수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28일 서울 명동 은행연합회관에서 은행장 간담회를 열고 은행장들에게 희망퇴직 활성화 취지를 설명했다.
최 위원장은 지난 9일 금융공기업과 일반은행의 희망퇴직을 늘리기 위해 퇴직금을 올리는 것을 적극 장려하겠다고 밝힌 뒤 은행장들을 모아놓고 직접 희망퇴직 확대를 당부한 것이다.
간담회 이후 은행권에서는 금융당국의 행보에 우려의 목소리가 터져나오고 있다. 먼저 이번 희망퇴직 확대가 인위적인 구조조정의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우려가 높다.
허권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위원장은 “은행 희망퇴직의 가장 중요한 점은 직원들의 희망퇴직 선택권을 보장해 주는 것”이라며 “정부가 희망퇴직을 주도할 경우 직원 개인들에게 희망퇴직 선택권이 보장되지 않고 인위적인 구조조정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여기에 청년일자리 창출을 위해 고령층이 희생된다는 지적과 함께 퇴직금을 늘려 희망퇴직을 독려할 경우 막상 은행에서 열심히 일할 나이의 ‘허리 계층’이 퇴직을 선택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실제 2015년과 2016년 대규모 희망퇴직을 실시한 KB국민은행을 보면 2014년말 책임자급 직원이 1만1561명에서 9799명으로 감소하는 사이 일반 행원급 직원도 9197명에서 7126명으로 감소했다.
모 은행 직원은 “인사적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희망퇴직이 필요하지만 희망퇴직으로 일하지 않는 배짱이 직원이 떠나는 것이 아니라 열심히 일하는 직원들이 떠나는 문제가 있다”며 “희망퇴직이 임금피크제를 넘어 일반 직원들을 대상으로 실시되면 남아있게 되는 직원들의 업무부담이 무리하게 가중된다”고 설명했다.
한편 금융당국은 은행권 희망퇴직 확대의 이유를 청년채용 확대에 두고 있다.
최종구 위원장은 지난 9일 “일반은행들이 여론 때문에 퇴직금을 많이 못 줘 희망퇴직이 활성화되지 안고 있다. 퇴직금을 많이 줘야 받는 사람도 나가는 선택을 할 수 있다”며 “희망퇴직을 하면 10명 퇴직 때 7명의 젊은 사람을 채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조계원 기자 Chokw@kukinews.com